의약(외)품상세정보

린파자정100밀리그램(올라파립)

린파자정100밀리그램(올라파립)

린파자정100밀리그램(올라파립) 낱알 린파자정100밀리그램(올라파립) 포장/용기정보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모양,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 기타식별표시
제품명 린파자정100밀리그램(올라파립)
성상 노란색 내지 어두운 노란색의 양면이 볼록한 타원형의 필름코팅정
모양 타원형
업체명
위탁제조업체
전문/일반 전문의약품
허가일 2019-10-29
품목기준코드 201907537
표준코드 8806507011202, 8806507011219
기타식별표시 식별표시 : AK020041 장축크기 : 14.8mm 단축크기 : 7.5mm 두께 : 4.8mm

생동성 시험 정보

생동성시험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의약품상세정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원료약품 및 분량

이 약 1정(414mg) 중

원료약품 및 분량 - 원료약품 및 분량으로 순번, 성분명, 분량, 단위, 규격, 성분정보, 비교의 정보를 제공
순번 성분명 분량 단위 규격 성분정보 비교
1 올라파립 100.0 밀리그램 별규

첨가제 : 코포비돈,오파드라이노란색(03B220046),푸마르산스테아릴나트륨,만니톨,무수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효능효과 PDF다운로드 XML다운로드 HTML다운로드

난소암

단독요법

• 1차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반응(부분 또는 완전반응)한 새로 진단된 진행성 BRCA 변이 고도 상피성 난소암, 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성인 환자의 유지 요법

• 2차 이상의 백금기반요법에 반응(부분 또는 완전반응)한 백금민감성 재발성 고도 상피성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포함) 성인 환자의 단독 유지요법

베바시주맙 병용요법

• 1차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과 베바시주맙 병용투여 요법에 반응(부분 또는 완전반응)한 상동재조합결핍(HRD) 양성(BRCA변이 또는 유전체 불안정성으로 정의)인 고도 상피성 난소암, 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 성인 환자의 병용 유지 요법

유방암

• 이전에 수술 전 보조요법 또는 수술 후 보조요법 조건에서 항암화학요법 치료경험이 있는 gBRCA 변이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성인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

• 이전에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험이 있는 gBRCA 변이 HER2-음성 전이성 유방암 성인 환자의 치료. 환자는 수술 전 보조요법, 수술 후 보조요법, 또는 전이성 조건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을 수 있다.

췌장암

1차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을 최소 16주간 받은 후 진행하지 않은 gBRCA 변이 전이성 췌장암 성인 환자의 유지 요법

전립선암

• 이전에 새로운 호르몬 치료제 치료 후 질병이 진행한 경험이 있는 BRCA 변이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성인 환자의 치료

• 아비라테론 및 프레드니솔론과의 병용요법 :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진단 후 항암화학요법 치료경험이 없는 성인 환자의 치료

용법용량 PDF다운로드 XML다운로드 HTML다운로드

이 약은 300 mg (150 mg 2정)씩 1일 2회 경구투여한다(1일 총 용량 600 mg).

투여 기간

진행성 BRCA 변이 고도 상피성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복막암 포함)의 단독 유지 요법 : 2년간 또는 질병이 진행되거나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 2년차에 완전 반응(방사선적 질병 증거가 없음)을 나타내는 환자들은 투여를 중단한다. 2년차에 질병의 증거가 있으나, 주치의가 볼 때 치료를 지속함으로써 추가적 이익을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하는 환자는 2년 이후에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백금민감성 재발성 고도 상피성 난소암(난관암 또는 일차복막암 포함) : 기저 질환의 진행 또는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권장된다.

베바시주맙 병용 유지 요법 : 2년간 또는 질병이 진행되거나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치료를 지속할 수 있다. 2년차에 완전 반응(방사선적 질병 증거가 없음)을 나타내는 환자들은 투여를 중단한다. 2년차에 질병의 증거가 있으나, 주치의가 치료를 지속함으로써 추가적 이익을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되는 환자는 2년 이후에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베바시주맙 허가사항 참조)

gBRCA 변이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 환자는 질환이 재발되거나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최대 1년간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권장된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인 환자는 내분비 병용치료를 지속하여야 한다.

HER2-음성 전이성 유방암 : 기저 질환의 진행 또는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권장된다.

전이성 췌장암의 1 차 치료 후 유지 요법 : 기저 질환의 진행 또는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권장된다.

BRCA 변이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 : 기저 질환의 진행 또는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권장된다.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 치료를 위한 아비라테론 및 프레드니솔론 병용요법 : 기저 질환의 진행 또는 수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나기 전까지 치료를 지속하는 것이 권장된다. 린파자가 아비라테론과 병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아비라테론의 권장 용법용량 정보를 위해 허가사항을 참조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중 12.전문가를 위한 정보 참조).

린파자 캡슐(50 mg)과 린파자 정제(100mg 및 150mg)는 각 제형의 용량 및 생체 이용률에 차이가 있으므로 밀리그램 대 밀리그램 기준으로 린파자 캡슐(50mg)을 린파자 정제(100mg 및 150mg)와 대체하여 사용해서는 안 된다.

투여 누락

만약 환자가 이 약의 투여를 누락한 경우, 환자는 예정된 시간에 다음 정상 용량을 복용해야 한다.

용량 조절

이상반응이 발현되는 경우

이상반응을 관리하기 위하여 투약이 중지될 수 있으며, 감량이 고려될 수 있다.

권장되는 감량 용법은 250 mg(150mg 정제 1정과 100mg 정제 1정)씩 1일 2회(총 일일 용량 500mg에 해당)이다.

추가적인 감량이 필요한 경우, 200mg(100mg 정제 2정)씩 1일 2회(총 일일 용량 400mg에 해당)로 감량하는 것이 권장된다.

CYP3A 억제제와 병용하는 경우

강한 또는 중등도의 CYP3A 억제제와의 병용 투여는 권장되지 않으며, 대체 치료법을 고려한다. 만약 강한 CYP3A 억제제의 병용 투여가 꼭 필요한 경우, 이 약의 용량은 100mg(100mg 정제 1정)씩 1일 2회 (총 일일 용량 200mg에 해당)로 감량하는 것이 권장된다. 만약 중등도 CYP3A 억제제의 병용 투여가 꼭 필요한 경우, 이 약의 용량은 150mg(150mg 정제 1정)씩 1일 2회 (총 일일 용량 300mg에 해당)로 감량하는 것이 권장된다 (4. 상호작용 항 참고).

투여 방법

이 약은 통째로 삼켜야 하며, 씹거나, 부수거나, 녹이거나 분할해서는 안 된다. 이 약은 음식 섭취 여부와 관계없이 투여할 수 있다.

진단

새로 진단된 BRCA 변이 진행성 난소암의 단독 유지 요법: 환자는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유방암 감수성 유전자(BRCA) 변이가 확인되어야 한다 (배선 또는 종양 검사에 의해 확인). BRCA 변이 상태는 숙련된 실험실에서 검증된 시험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gBRCA 변이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의 수술 후 보조요법 : 환자는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배선(g)BRCA 변이가 확인되어야 한다. BRCA 변이 상태는 숙련된 실험실에서 검증된 시험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베바시주맙 병용 유지 요법 : 환자는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상동재조합결핍 (HRD) 양성 상태가 확인되어야 한다. 상동재조합결핍 양성 상태는 숙련된 실험실에서 검증된 시험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전이성 HER2-음성 유방암: 환자는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배선(g)BRCA 변이가 확인되어야 한다. BRCA 변이 상태는 숙련된 실험실에서 검증된 시험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전이성 췌장암의 1차 치료 후 유지 요법 :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gBRCA 변이가 확인되어야 한다. BRCA 변이 상태는 숙련된 실험실에서 검증된 시험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BRCA 변이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 이 약의 투여를 시작하기 전 BRCA 변이가 확인되어야 한다. BRCA 변이 상태는 숙련된 실험실에서 검증된 시험법을 사용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PDF다운로드 XML다운로드 HTML다운로드 환자용설명서(RMP)

1. 경고

1)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

장기간 생존 추적조사를 포함하여 임상시험에서 이 약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환자의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 발생률은 1.5% 미만이었으며 최소 2차 이상의 이전 백금 화학요법을 투여받고 5년 동안 추적 관찰된 BRCA 변이 백금 민감성 재발성 난소암 환자에서 더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사례는 치명적 결과를 가져왔다.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한 환자에서 이 약의 치료 기간은 6개월 미만에서 4년 초과까지 다양했다. 모든 환자는 이전에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투여 받아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 발생에 대한 잠재적 기여 인자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많은 환자가 DNA를 손상시킬 수 있는 다른 치료를 받았다. 대부분의 보고는 gBRCA 변이(germline BRCA mutation)를 동반한 환자들에게서 나타났고, 일부 환자들은 하나 이상의 원발성 암 또는 골수 이형성 병력이 있었다. 이 약 투여 중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 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확인된 경우, 이 약을 중단하고 환자를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추가적인 항암 요법이 권장되는 경우 이 약을 중단해야 한다.

2) 정맥 혈전 색전성 사례

폐 색전증을 포함하는 정맥 혈전 색전성 사례는 린파자를 투여받은 환자들에게서 나타났으며, 일관된 임상적 패턴이 없었다. 다른 허가된 적응증에 비해 안드로겐 차단요법을 받은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게서 더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2. 이상반응 항 참고). 정맥 혈전증 및 폐 색전증의 임상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의학적으로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3) 폐렴

폐렴은 임상시험에서 이 약 단독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1.0% 미만에서 나타났다. 폐렴에 대한 보고는 일관된 임상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고, 다수의 선행요인(폐의 암 및/또는 전이, 기저 폐질환, 흡연 이력, 및/또는 이전의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에 의해 교란되었다. 임상 시험에서 이 약을 다른 요법과 병용하였을 때, 치명적 결과를 나타낸 사례가 있었다. 환자에게 호흡곤란, 기침 및 열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새로이 나타나거나 악화된 경우, 또는 비정상적인 흉부 방사선 소견이 관찰된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고 즉시 검사를 시작하여야 한다. 폐렴이 확인된 경우, 이 약 치료를 중단하고 적절하게 환자를 치료해야 한다.

4) 배태자 독성

이 약의 약물 기전(PARP 저해)에 의해, 이 약을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 시 태아에게 해를 끼칠 수있다. 랫드를 대상으로 수행한 비임상시험에서 올라파립은 인체 권장용량에서 예상되는 노출량 1일 2회 300mg 이하 용량 투여 시 배태자 생존에 유해한 효과를 보이고 주요한 태자 기형을 유발하였다. 이 약은 임신 중 사용해서는 안 된다. 만약 환자가 이 약을 투여 받는 동안 임신을 하면, 환자에게 이 약이 태아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알려야 한다. 가임여성은 이 약의 투여기간 및 투여 완료 후 6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하도록 권고한다. 남성 환자와 가임여성 파트너는 이 약 투여 기간 및 투여 완료 후 3개월간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하도록 권고한다.

2. 이상반응

1) 약물이상반응에 대한 전반적 요약

올라파립 중증도가 대체로 경증 또는 중등증(CTCAE 1 또는 2)이고 치료 중단을 요하지 않는 실험실 수치 및/또는 임상 진단과 관련되었다.

2) 임상시험에서의 약물이상반응

안전성 프로파일은 임상시험에서 권장용량으로 이 약 단독요법을 받은 고형암 환자 4098명과 베바시주맙을 병용 투여 받은 535명 그리고 아비라테론과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을 병용 투여 받은 469명으로부터의 통합 자료에 근거한다.

이 약 단독요법을 투여받은 임상시험 대상자에서 10% 이상 빈번하게 관찰된 이상반응은 오심, 피로/무력, 빈혈, 구토, 설사, 식욕부진, 두통, 호중구 감소증, 미각이상, 기침, 백혈구감소증, 어지러움, 호흡곤란 및 소화불량이었고, 2% 이상 관찰된 3등급 이상의 이상반응은 빈혈(15%), 호중구감소증(5%), 피로/무력(4%), 백혈구감소증(3%) 및 혈소판감소증(2%)이었다. 이 약 단독요법의 일시 중단 또는 용량 감량을 초래한 주요 이상반응은 빈혈(16%), 오심(7%), 피로/무력(6%), 호중구 감소증(6%), 구토(6%)였고 영구 중단을 초래한 주요 이상반응은 빈혈(1.7%), 오심(0.9%), 피로/무력(0.8%), 혈소판 감소증(0.7%), 호중구 감소증(0.6%) 및 구토(0.5%)였다.

이 약을 난소암에 베바시주맙과 병용하였을 때 또는 전립선암에 아비라테론과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과 병용하였을 때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개별 약물의 안전성 프로파일과 대체로 일치한다.

베바시주맙과의 병용요법에서 이상반응으로 인한 이 약의 일시 중단 또는 용량 감량을 경험한 비율은 57%였고, 치료 영구 중단 비율은 각각 올라파립/베바시주맙 투여군의 20%, 위약/베바시주맙 투여군의 6%였다. 이 약의 일시 중단 또는 용량 감량을 초래한 주요 이상반응은 빈혈(22%), 오심(10%) 및 피로/무력(5%)이었고 영구 중단을 초래한 주요 이상반응은 빈혈(3.6%), 오심(3.4%) 및 피로/무력(1.5%)이었다.

아비라테론과의 병용요법에서 이상반응으로 인한 이 약의 일시 중단 또는 용량 감량을 경험한 비율은 46.9%였고, 치료 영구 중단 비율은 각각 올라파립/아비라테론 투여군의 16.2%, 위약/아비라테론 투여군의 8.1%였다. 이 약의 일시 중단 또는 용량 감량을 초래한 주요 이상반응은 빈혈(15.6%), 오심(3%), 피로/무력(2.6%) 및 호중구 감소증(2.1%)이었고 영구 중단을 초래한 주요 이상반응은 빈혈(4.1%)이었다.

다음 이상반응이 이 약 단독요법 투여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환자 노출이 알려진 완료된 임상시험에서 확인되었다. 약물이상반응은 MedDRA 기관계 분류 및 선호용어에 따라 ‘표1’에 정리하였다. 각 기관계 분류 내에서 선호 용어는 빈도가 높은 순, 중대함 순으로 정리하였다. 이상반응 발생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 <1/10), 흔하지 않게 (≥1/1,000 ~ <1/100), 드물게 (≥1/10,000 ~ <1/1000), 그리고 매우 드물게(<1/10,000 및 단일 보고 포함).

표1. 단독 요법 임상 시험에서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MedDRA

기관계 분류

MedDRA 이상반응

CIOMS 기술/ 전반적 빈도

(모든 CTCAE 등급)

CTCAE grade 3 이상의 빈도

양성, 악성 및 상세 불명의 신생물 (낭종 및 용종 포함)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a

흔하지 않게

흔하지 않게

혈액 및 림프계

빈혈a

매우 흔하게

매우 흔하게

호중구 감소증a

매우 흔하게

흔하게

백혈구 감소증a

매우 흔하게

흔하게

혈소판 감소증a

흔하게

흔하게

림프구 감소증a

흔하게

흔하게

면역계

과민증a

흔하지 않게

드물게

혈관 부종*

드물게

-

대사 및 영양

식욕부진

매우 흔하게

흔하지 않게

신경계

어지러움

매우 흔하게

흔하지 않게

두통

매우 흔하게

흔하지 않게

미각 이상a

매우 흔하게

-

호흡, 흉부 및 종격

기침a

매우 흔하게

흔하지 않게

호흡곤란a

매우 흔하게

흔하게

위장관계

구토

매우 흔하게

흔하게

설사

매우 흔하게

흔하지 않게

오심

매우 흔하게

흔하게

소화불량

매우 흔하게

드물게

구내염a

흔하게

흔하지 않게

상복부 통증

흔하게

드물게

피부 및 피하 조직

발진a

흔하게

흔하지 않게

피부염a

흔하지 않게

드물게

결절 홍반

드물게

-

전신

피로(무력증 포함)

매우 흔하게

흔하게

실험실적 수치

혈중 크레아티닌 증가

흔하게

드물게

평균 적혈구 용적 증가

흔하지 않게

-

혈관 장애

정맥 혈전 색전증a

흔하게

흔하게

a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선호 용어 (preferred term)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 및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한다.

빈혈은 선호 용어로 빈혈, 대적혈구성 빈혈, 적혈구 감소증, 헤마토크릿 감소, 헤모글로빈 감소, 정적혈구성 빈혈 및 적혈구 수 감소를 포함한다.

호중구 감소증은 선호 용어로 열성 호중구 감소증, 호중구 감소증, 호중구 감소성 감염, 호중구 감소성 패혈증 및 호중구 수 감소를 포함한다.

백혈구 감소증은 선호 용어로 백혈구 감소증 및 백혈구 수 감소를 포함한다.

혈소판 감소증은 선호 용어로 혈소판 수 감소 및 혈소판 감소증을 포함한다.

림프구 감소증은 선호 용어로 림프구 수 감소, 림프구 감소증을 포함한다.

과민증은 선호 용어로 약물 과민증 및 과민증을 포함한다.

미각 이상은 선호 용어로 미각 이상 및 미각 장애를 포함한다.

기침은 선호 용어로 기침 및 객담성 기침을 포함한다.

호흡 곤란은 선호 용어로 호흡 곤란 및 노작성 호흡 곤란을 포함한다.

구내염은 선호 용어로 아프타성 궤양, 구강 궤양 및 구내염을 포함한다.

발진은 선호 용어로 홍반, 박탈성 발진, 발진, 반점성 발진, 반점 구진성 발진, 구진성 발진 및 소양성 발진을 포함한다.

피부염은 선호 용어로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정맥 혈전 색전증은 색전증, 폐 색전증, 혈전증, 심부 정맥 혈전증, 대정맥 혈전증 및 정맥 혈전증을 포함한다.

* 시판 후 설정에서 관찰

3) 일부 이상반응에 대한 설명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

모든 적응증과 제형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치료 중 및 30 일의 안전성 추적 관찰 도중 흔하지 않게 발생했으며, 전체 생존을 위한 장기 추적 관찰 동안의 적극적인 수집 사례를 포함하여 올라파립 시작 이후 시점에 1.5% 미만으로 발생했다. 이전에 최소 2 차 이상의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시험약을 질병 진행 시까지 투여받은 (SOLO2 시험, 정제, 45%의 환자에서 올라파립 치료 2 년 이상) BRCA 변이 백금 민감성 재발성 난소암 환자에서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발생률은 5 년 추적 관찰에서 올라파립을 투여받은 환자는 8% 이고 위약을 받은 환자는 4% 였다. 올라파립군에서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 사례 16 건 중 9 건은 생존 추적 관찰 중 올라파립의 중단 후 발생했다.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발생율은 올라파립 군의 전체 생존 기간이 연장되고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늦게 발병하는 상황에서 관찰되었다.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위험은 2 년 동안의 한 차례의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후 1 차 세팅으로 올라파립의 유지요법을 받았을 때 5 년 추적관찰에서 1.5% 미만이다.

혈액학적 독성

빈혈 및 다른 혈액학적 독성은 대체로 낮은 등급(CTCAE grade 1 또는 2)이었으나 CTCAE grade 3 이상의 보고가 있었다. 빈혈이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가장 흔한 CTCAE grade 3 이상의 이상반응이었고 첫 번째 발현은 일반적으로 치료 첫 3개월 내에 보고되었다. 올라파립과 헤모글로빈 감소 사이의 노출-반응 관계가 입증되었다. 이 약의 임상시험에서 베이스라인 대비 CTCAE grade 2 이상의 변화(감소) 발생률은 헤모글로빈이 21%, 절대 호중구가 17%, 혈소판이 5%, 림프구가 26%, 백혈구가 19%이었다 (모두 근사치 %).

낮거나 정상인 베이스라인에서 정상의 상한을 초과하는 평균 적혈구 용적 증가의 발생률은 약 51%이었다. 치료 중단 이후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가고 임상적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투여 기간 동안 투여 중단 또는 감량 및/또는 추가 투여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지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전혈구검사를 베이스라인과 치료 첫 12개월 동안 매월 진행하고, 이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기타 실험실적 소견

이 약의 단독요법 임상시험에서, 혈중 크레아티닌의 베이스라인 대비 CTCAE grade 2 이상의 변화(상승)를 나타낸 비율은 약 11%였다. 이중맹검 위약대조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는 베이스라인에서 최대 23%의 중간값 증가를 보였고, 이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고, 치료 중단 후 임상적 후유증 없이 베이스라인으로 되돌아갔다. 베이스라인에서 크레아티닌 수치는 90%의 환자에서 CTCAE grade 0이었고, 10%에서 CTCAE grade 1이었다.

구역 및 구토

구역은 매우 초기에 일반적으로 보고되어 대부분의 환자에서 이 약 치료 첫 달에 최초 발현되었다. 구토는 초기에 보고되어, 대부분의 환자에서 이 약 투여 첫 2개월 내에 최초 발현되었다. 구역과 구토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간헐적으로 보고되었다.

정맥 혈전 색전성 사례

다음 3건의 임상시험에서 군 간 정맥 혈전 색전성 사례의 발생률 및 발생속도 불균형이 관찰되었다.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대상 아비라테론과의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정맥 혈전 색전성 사례가 올라파립/아비라테론 투여군의 8.5%, 위약/아비라테론 투여군의 4.0%에서 관찰되었고, 모든 군에서 가장 흔한 사건은 폐색전증이었음. 모든 폐색전증 사건은 3등급 이상이었고 9명이 이 약의 투여를 일시 중단하였으며 영구 중단에 이른 사건은 없었다.

이전 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대상 임상시험에서 정맥 혈전 색전성 사례는 올라파립 투여군의 7.8%, 위약 투여군의 3.1%에서 관찰되었고 올라파립 투여군에서 가장 흔한 사건은 폐색전증/색전증이었으며 최초 발생까지 걸린 기간의 범위는 6~337일이었다.

난소암, 난관암, 복막암 환자 대상 베바시주맙과의 병용요법 임상시험에서 정맥 혈전 색전성 사례는 올라파립/베바시주맙 투여군의 4.7%, 위약/베바시주맙 투여군의 1.9%에서 관찰되었고 올라파립/베바시주맙 투여군에서 가장 흔한 사건은 폐색전증/색전증이었으며 최초 발생까지 걸린 기간의 범위는 141~505일이었고 중앙값은 212일이었다.

3. 일반적 주의

1) 진행성 유방암으로 백금계 항암화학요법을 받던 중 질병이 진행한 환자에서 이 약의 임상적 경험은 없다.

2) 이 약의 투여는 항암제 사용 경험이 있는 전문의에 의해 시작되고 감독 하에 실시되어야 한다.

3) 혈액학적 독성

올라파립 투여 환자에 대하여 대체로 경증 또는 중등증(CTCAE grade 1 또는 2)의 빈혈,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림프구 감소증에 대한 임상 진단 및/또는 검사 결과를 포함한 혈액학적 독성이 보고되었다. 환자는 이전 항암 요법으로 유발된 혈액학적 독성에서 회복될 때까지 이 약 치료를 시작하지 말아야 한다(헤모글로빈, 혈소판, 호중구 수치가 CTCAE grade 1 이하가 되어야 함). 치료 중 지표의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전혈구검사를 베이스라인과 치료 첫 12개월 동안 매월 진행하고 이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환자에서 중증의 혈액학적 독성 또는 수혈 의존성이 나타난 경우, 이 약 치료는 중단되어야 하며, 적절한 혈액학적 검사가 시작되어야 한다. 이 약 투여 중단 4주 후에도 혈액 지표가 임상적으로 비정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골수 분석 및/또는 혈액 세포학적 분석이 권장된다.

4) 운전 및 기계 조작 능력에 대한 영향

운전 및 기계 조작 능력에 대한 올라파립의 영향을 확립하기 위한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약 투여 중 무력증, 피로, 어지러움이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증상을 경험한 환자는 운전 또는 기계 조작 시 주의하여야 한다.

4. 상호작용

1) DNA 손상 약물을 비롯한 다른 항암제와 병용한 올라파립에 대한 임상 시험은 골수억제 독성의 상승 및 연장을 보여준다. 이 약 단독 요법의 권장 용량은 골수억제성 항암제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2) 다른 약이 올라파립에 미치는 영향

강한~중등도의 CYP3A 억제제

CYP3A4/5는 올라파립의 대사적 제거를 주로 담당하는 동종효소이다. 올라파립과 강한 CYP3A 억제제(이트라코나졸)와의 병용투여는 올라파립 Cmax 를 42% 증가시키고, AUC를 170% 증가시켰다. 따라서 이트라코나졸, 텔리스로마이신, 클래리스로마이신 또는 프로테아제 저해제와 병용하는 리토나비어나 코비시스타트, 인디나비어, 사퀴나비어, 넬피나비어, 보세프레비어, 텔라프레비어와 같은 강한 CYP3A 억제제와의 병용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생리학 기반 약동학적 모델(Physiologically-based pharmacokinetic modelling)에 의하면, 중등도의 억제제가 올라파립의 청소율을 변화시키므로, 시프로프록사신, 에리스로마이신, 딜티아젬, 플루코나졸, 베라파밀과 같은 중등도의 CYP3A 억제제와 올라파립의 병용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만약 강한~중등도의 CYP3A 억제제가 병용투여되어야 한다면, 이 약은 감량되어야 한다.

자몽주스는 CYP3A 억제제이므로 올라파립 치료 중 자몽주스는 권장되지 않는다.

강한~중등도의 CYP3A 유도제

올라파립과 강한 CYP3A 유도제(리팜피신)와의 병용 투여는 올라파립의 Cmax 를 71% 감소시키고, AUC를 87% 감소시킨다. 따라서, CYP3A 유도제는 올라파립의 임상적 효과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페니토인, 리파부틴, 리팜핀(리팜피신), 리파펜틴, 카바마제핀, 네비라핀, 페노바르비탈, 세인트존스워트(Hypericum perforatum) 등과 같은 강한 유도제와 올라파립의 병용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생리학 기반 약동학적 모델에 따르면, 중등도의 CYP3A 유도제는 올라파립의 AUC를 약 60% 감소시키므로, 보센탄, 에파비렌즈, 에트라비린, 모다피닐 및 나프실린과 같은 중등도 CYP3A 유도제와 올라파립의 병용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만약 중등도 CYP3A 유도제가 병용투여 되어야 한다면, 의사는 이 약의 효능 감소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3) 올라파립이 다른 약에 미치는 영향

CYP 상호작용

CYP3A4의 유도와 억제는 모두 in vitro에서 확인되었다. 하지만, 생리학 기반 약동학적 모델 시뮬레이션 및 임상 자료는 in vivo에서 올라파립의 순 영향이 CYP3A의 약한 억제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민감한 CYP3A 기질 또는 좁은 치료적 마진을 가지는 기질(예. 심바스타틴, 시사프라이드, 사이클로스포린, 맥각 알칼로이드류, 펜타닐, 피모짓, 시롤리무스, 타크롤리무스, 쿠에티아핀)과 올라파립이 병용투여 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좁은 치료적 마진을 가지는 CYP3A 기질과 올라파립이 동시에 투여될 때에는 적절한 임상적 모니터링이 권장된다.

In vitro에서 CYP1A2 및 2B6이 유도된다고 알려져 있고, 그 중 CYP2B6이 가장 임상적으로 명백한 수준으로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올라파립과의 병용투여는 이러한 대사적 효소의 기질들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약물수송체 상호작용

올라파립은 또한 OATP1B1, OCT1, OCT2, OAT3, MATE1 및 MATE2K의 in vitro 억제제이다. 이것의 임상적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올라파립이 OATP1B1의 기질 (예. 보센탄, 글리벤클라미드, 레파글리니드, 스타틴계열, 발사르탄), OCT1의 기질 (예. 메트포르민), OCT2의 기질 (예. 혈청 크레아티닌), OAT3의 기질 (예. 푸로세마이드, 메토트렉세이트), MATE1의 기질 (예. 메트포르민 및 시스플라틴), 및 MATE2K의 기질 (예. 메트포르민)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올라파립은 스타틴 약물과 병용투여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올라파립의 최기형성 및 유전독성 가능성으로 인해 임신 중에 올라파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약을 투여하는 남성 환자의 여성 파트너도 피임을 해야 한다.

임신한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는 없다.

이 약을 투여 받는 여성 환자 또는 남성 환자의 여성 파트너가 임신한 경우, 태아에 대한 잠재적 위해성 또는 유산의 위험에 대해 알려야 한다.

1) 피임 및 임신 검사

가임 여성은 이 약의 투여기간 및 투여 완료 후 6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해야 한다. 치료에 앞서 모든 가임여성을 대상으로 임신 검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 약 투여 중 주기적으로 그리고 마지막 투여 1개월 후에 임신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올라파립 또는 그 대사체가 정액에서 확인되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남성 환자는 투여 기간 및 이 약 투여 완료 후 3개월간 임신한 여성 또는 가임 여성과 성교를 할 때 콘돔을 사용해야 한다. 남성 환자의 여성 파트너도 가임 여성인 경우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해야 한다. 남성 환자는 이 약 투여 기간 및 투여 완료 후 3개월간 정자를 기증해서는 안 된다.

2) 수유

수유부에서 이 약의 사용에 대한 자료는 없다. 동물 또는 수유부에서 올라파립이 모유로 분비되는지는 연구되지 않았다. 수유를 받는 신생아에 대한 위험은 배제할 수 없다. 수유부는 이 약 투여 기간 및 투여 기간 완료 후 1개월간 수유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서 이 약의 안전성ㆍ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65세 이상 고령자에서 이 약 투여 시 나타난 안전성 프로파일은 65세 이하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였으며 시작 용량의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만 75세 이상의 환자에 대한 임상 자료는 제한적이다.

8. 신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중등증의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 31 ? 50 ml/min)에서, 이 약의 권장 용량은 1일 2회 200mg(100mg 정제 2정) (1일 총 400mg)이다. 이 약은 중증 또는 말기의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 ≤30 ml/min)에서 안전성 및 약동학이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이 환자들에게 권장되지 않는다. 경증의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 51 ? 80 ml/min)에서 이 약의 용량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9. 간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은 경증 또는 중등증의 간장애 (Child-Pugh classification A 또는 B) 환자에게 용량 조절 없이 투여될 수 있다. 중증의 간장애 (Child-Pugh classification C) 환자에서 안전성 및 약동학이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이 환자들에게 이 약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투여의 증상은 확립되지 않았고, 이 약의 과량투여에 대한 특정한 치료는 존재하지 않는다. 과량투여 시, 전문의는 일반적인 지지요법을 따라야 하며 대증적으로 치료하여야 한다.

11. 보관 및 취급상 주의 사항

1) 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제품의 품질을 손상시키거나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용기를 변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습기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원래의 용기에 보관하도록 한다.

12.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올라파립은 인간 폴리(ADP 리보스) 폴리머라제 효소 (PARP 1, PARP 2, 및 PARP 3)의 강한 억제제이며, 단독 요법 또는 확립된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 요법 또는 새로운 호르몬 제제와의 병용 요법으로 in vitro 에서 특정 종양 세포주의 증식 그리고, in vivo 에서 종양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RCA 결핍 in vivo 모델에서, 백금 치료 후 투여된 올라파립은 백금 치료만 실시한 경우에 비해 종양 진행의 지연 및 전체 생존의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올라파립 유지 치료 기간과 상관성이 있었다.

전립선암 모델에 대한 비임상 연구에서는 PARP 억제제와 차세대 호르몬 제제를 함께 투여했을 때 복합 항종양 효과가 보고되었다. PARP는 안드로겐 수용체(AR) 신호전달의 양성 공동 조절에 관여하며, 이는 PARP/AR 신호전달이 동시 억제될 때 증강된 AR 표적 유전자 억제로 이어진다. 다른 전임상 연구에서는 NHA 치료가 일부 HRR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여 HRR 결핍을 유도하고 비유전적 메커니즘을 통해 PARP 억제제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 약동학적 정보

일반

300mg 정제 용량에서 올라파립의 약동학은 겉보기 혈장 청소율 ~7 L/h, 겉보기 분포 용적 ~158 L 및 말단 반감기 15시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복 투여 시, AUC 축적비 1.8이 관찰되었으며, PK는 어느 정도 시간 의존적인 것으로 보였다.

흡수

정제 제형으로(2 x 150mg) 올라파립 경구 투여 후, 흡수는 신속하였고, 최고 혈장 농도의 중앙값은 일반적으로 투여 후 1.5시간에 도달하였다.

음식과 함께 투여하였을 때, 속도는 감소하였으나(tmax 는 2.5시간까지 지연되고 Cmax 는 약 21% 감소함), 올라파립의 흡수 정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AUC 투여 비율: 1.08; 90% CI: 1.01, 1.16). 결과적으로, 환자들은 음식과 관계없이 이 약을 투여 받을 수 있다.

분포

in vitro 혈장 단백질 결합은 대략적인 Cmax. 인 10 µg/mL에서 약 82%이다.

In vitro에서, 올라파립의 인체 혈장 단백질 결합은 용량 의존적이었다; 결합 분획은 1 µg/mL에서 약 91%였으며, 10 µg/mL에서 82%로 감소하였고, 40 µg/mL에서 70%로 감소하였다. 정제 단백질 용액에서, 알부민에 결합한 올라파립 분획은 약 56%였고, 이는 올라파립 농도와 무관하였다. 동일한 분석법을 사용하였을 때, alpha-1 acid glycoprotein에 결합한 분획은 10 µg/mL에서 29%였고, 더 높은 농도에서 결합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사

In vitro에서, CYP3A4/5는 올라파립의 대사를 주로 담당하는 효소로 확인되었다.

여성 환자에게 14C-올라파립을 경구 투여한 후, 미변화체 올라파립은 혈장 내 순환하는 방사능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70%), 소변과 분변 모두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각각 용량의 15% 및 6%). 올라파립의 대사는 광범위하며, 주요 대사 부위는 piperazine 및 fluorobenzyl 환 구조이다. 대사의 대부분은 산화 반응에 의한 것이었으며, 생성된 많은 성분들은 이후 글루쿠로나이드 또는 황산 포합 반응을 받았다. 혈장, 소변 및 분변에서 각각 최대 20, 37 및 20개의 대사체가 검출되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투여된 성분의 <1%를 차지하였다. ring-open piperazin-3-ol 모이어티 및 2개의 단일 산화 대사체(각각 ~10%)가 주요 순환 성분이었으며, 단일 산화 대사체 중 하나는 배설물에서 주요 대사체였다(소변 및 분변 방사능의 각각 6% 및 5%).

In vitro 에서, 올라파립은 UGT1A4, UGT1A9, UGT2B7, 또는 CYP 1A2, 2A6, 2B6, 2C8, 2C9, 2C19, 2D6, 2E1을 억제하지 않거나 거의 억제하지 않았으며, 이들 CYP 효소들의 임상적으로 유의한 시간 의존적 억제제로 예상되지 않는다. 올라파립은 in vitro에서 UGT1A1을 억제하였으나, 생리학 기반 약동학적 모델 시뮬레이션 결과, 이는 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활성을 사용한 평가에 근거할 때, 올라파립은 CYP2C9 또는 2C19의 유도제가 아니었다. In vitro에서, 올라파립은 방출(efflux) 수송체 P-gp의 기질로 이를 억제하지만(IC50 = 76µM), 이것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In vitro 에서, 올라파립이 OATP1B1, OATP1B3, OCT1, BCRP 또는 MRP2에 대한 기질이 아니며, BCRP의 약한 억제제이고, OATP1B3, OAT1 또는 MRP2의 억제제가 아니라는 것을 자료에서 보였다.

배설

14C-올라파립의 단회 투여 후, 투여된 방사능의 ~86%는 7일의 수집 기간 내에 회수되었고, 이 중 ~44%는 소변을 통해, ~42%는 분변을 통해 회수되었다. 물질의 대부분은 대사체로 배설되었다.

특수 집단

모집단 기반 PK 분석에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종양 위치 또는 인종(백인 및 일본인 환자 포함)은 유의한 공변량이 아니었다.

신장애의 영향

경증의 신장애(크레아티닌 청소율: 51-80 mL/min) 환자에게 단회 300mg의 올라파립을 경구 투여한 후, 정상 신기능 환자에 비해 AUC는 24% 증가하였고, Cmax 는 15% 증가하였다. 경증의 신장애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중등증의 신장애(크레아티닌 청소율 31-50mL/min) 환자에게 단회 300mg의 올라파립을 경구 투여한 후, AUC는 44% 증가하였고, Cmax 는 26% 증가하였다. 중등증의 신 장애 환자에 대해 이 약의 용량 조절이 권장된다.

올라파립은 중증의 신장애 환자 또는 말기 신장병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 ≤30 ml/min)에서 연구되지 않았다.

간장애의 영향

경증의 간장애(Child-Pugh 분류 A) 환자에게 단회 300mg의 올라파립을 경구 투여한 후, 정상 간 기능을 가진 환자에 비해 AUC는 15% 증가하였고, Cmax 는 13% 증가하였으며, 중등증의 간 장애 환자에서는 (Child-Pugh 분류 B) AUC가 8% 증가하였고, Cmax 는 13% 감소하였다. 경증 또는 중등증의 간 장애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올라파립은 중증의 간 장애 환자(Child-Pugh 분류 C)에서 연구되지 않았다.

3) 임상시험 정보

새로 진단된 진행성 난소암의 유지치료

SOLO1은 제 3상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다기관 시험으로, 진행성(FIGO Stage III-IV) 고도의 자궁내막양 또는 장액성 BRCA 변이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의 유지치료(300 mg [2 x 150 mg 정]을 1일 2회 투여)의 유효성을 위약과 비교하였다. 이 시험은 1차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후 반응(CR[완전 반응] 또는 PR[부분 반응])을 나타낸 391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하였다(2:1의 무작위 배정: 올라파립 군 260명 및 위약군 131명). 환자들은 1차 백금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CR 또는 PR)에 따라 층화되었다. 투여는 2년간 또는 기저 질병의 진행시까지 계속되었다. 완전 임상 반응을 유지한 환자들에서(즉, 방사선적 질병 증거가 없음), 최대 투여 기간은 2년이었다; 하지만, 안정적으로 유지된 질병의 증거를 나타낸 환자들은 (즉, 질병 진행의 증거가 없음) 2년 이상 이 약의 투여를 계속할 수 있었다.

이 시험은 올라파립 투여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시험자가 평가한 PFS에서 임상적으로 관련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위험비는(HR) 0.30이었다 (95% CI 0.23 – 0.41; p< 0.0001; 올라파립의 경우 중앙값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위약군에서의 중앙값은 13.8개월). Kaplan-Meier 평가에 근거하였을 때, 12, 24, 및 36개월에 무진행을 나타낸 환자의 비율은 올라파립 군에서 88%, 74%, 및 60%였고, 이에 비해 위약군에서는 51%, 35% 및 27%였다;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41개월이었다. PFS의 시험자 평가는 PFS에 대해 눈가림된 독립적 중앙 방사선적(BICR) 검토로 뒷받침되었다(HR 0.28; 95% CI 0.20-0.39; p< 0.0001; 올라파립의 경우 중앙값에 도달하지 못했고, 위약군에서는 14.1개월). PFS2에서도 임상적으로 의미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으며, HR은 0.50으로 (95% CI 0.35-0.72; p=0.0002; 올라파립 군에서는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았고, 위약군에서는 41.9개월), 이는 올라파립 군에서 관찰된 이익이 후속 요법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명백하게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표 2 참고).

PFS 분석 시점에, 중간 OS 자료는 82/391명 (21%)에서의 자료로 충분하지 않았다 (HR 0.95; 95% CI 0.60-1.53; p=0.8903;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음). TFST에서 올라파립 투여군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의미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내었다(표 2).

표 2 SOLO1에서 새로 진단된 BRCA 변이 진행성 난소암 환자에 대한 주요 유효성 결과의 요약

 

올라파립 300 mg bd

위약

PFS (성숙도 51%)

사건 수: 총 환자 수 (%)

102:260 (39)

96:131 (73)

기간의 중앙값(개월)

NR

13.8

12개월에 무진행 (%)a

88

51

24개월에 무진행 (%)a

74

35

36개월에 무진행 (%)a

60

27

HR (95% CI)b

0.30 (0.23-0.41)

P값 (양측)

p<0.0001

PFS2 (성숙도 31%)

사건 수: 총 환자 수 (%)

69:260 (27)

52:131 (40)

기간의 중앙값(개월)

NR

41.9

HR (95% CI)b

0.50 (0.35-0.72)

P 값 (양측)

p=0.0002

중간 OS (성숙도 21%)

사건 수: 총 환자 수 (%)

55:260 (21)

27:131 (21)c

기간의 중앙값(개월)

NR

NR

HR (95% CI)b

0.95 (0.60-1.53)

P 값 (양측)

p=0.8903

TFST

사건 수: 총 환자 수 (%)

99:260 (38)

94:131 (72)

기간의 중앙값(개월)

51.8

15.1

HR (95% CI)b

0.30 (0.22-0.40)

P 값* (양측)

p<0.0001

a Kaplan-Meier 평가.

b <1의 수치는 올라파립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 분석은 이전 백금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CR 또는 PR)을 공변량으로 포함하는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c 위약군에 속하며 후속 요법을 받은 94명 중, 49명이(52%) PARP 억제제를 투여받았다.

* 다중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음.

bd 1일 2회; NR 도달되지 않음; CI 신뢰 구간

그림 1 SOLO1: 새로 진단된 BRCA 변이 진행성 난소암 환자에 대한 PFS의 Kaplan-Meier plot (성숙도 51% – 시험자 평가)

백금민감성 재발성(PSR) 난소암

백금민감성 재발성 난소, 난관 또는 일차 복막암의 유지 치료 조건에서 이 약의 유효성은 백금민감성 재발성 및 BRCA 변이 질병이 있는 환자(SOLO2) 및 백금민감성 재발성 질병이 있는 환자(Study 19)에 대한 2개의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시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BRCA 변이를 나타내는 PSR 환자들에 대한 SOLO2 시험

이 시험은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을 완료한 후 반응(CR 또는 PR)을 나타낸 고도 장액성 또는 자궁내막양 백금민감성 재발성 난소암이 있는 29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위약과 비교하여 진행시까지 투여된 이 약 유지 요법(300 mg [2 x 150 mg 정]을 1일 2회 투여)의 유효성을 비교하였다 (2:1 무작위 배정: 올라파립 196명, 위약 99명). 모든 환자들은 베이스라인에 배선 BRCA 변이의 증거를 나타내었다.

1차 평가변수는 RECIST 1.1을 이용하여 시험자 평가에 의해 확인된 PFS였다.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PFS2; OS, TDT, TFST, TSST; 및 HRQoL을 포함하였다.

이 시험은 올라파립에서 위약군과 비교하여 시험자가 평가한 PFS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입증하는 1차 목적을 만족하였으며, HR은 0.30 이었다(95% CI 0.22-0.41; p<0.0001;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19.1개월 vs. 위약군에서 5.5 개월). PFS의 시험자 평가는 PFS에 대한 눈가림된 독립적 중앙 방사선 검토에 의해 입증되었다 (HR 0.25; 95% CI 0.18-0.35; p<0.0001;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30.2개월 vs. 위약군에서 5.5 개월). 2년차에, 올라파립-투여 환자의 43%가 무진행을 유지한 반면, 위약 투여 환자에서는 15%만 이에 해당하였다. PFS2에서도 임상적으로 의미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으며, HR은 0.50로 (95% CI 0.34-0.72; p=0.0002;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도달하지 못함 vs. 위약군에서는 18.4개월), 올라파립에서 관찰된 이익이 후속 요법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명백하게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최종 OS에서(61% 성숙도) HR 은 (95% CI 0.54 1.00; p=0.0537; 올라파립 군 중앙값 51.7 개월 vs 위약군 중앙값 38.8 개월)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TDT, TFST 및 TSST에서도 올라파립 투여 환자들에서 임상적으로 의미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표 3).

표 3 SOLO2에서 배선 BRCA 변이 PSR 난소암 환자들에 대한 주요 유효성 결과의 요약

 

올라파립 300 mg 정 bd

위약

PFS (성숙도 63%)

사건 수: 총 환자 수 (%)

107:196 (55)

80:99 (81)

기간의 중앙값(개월)

19.1

5.5

HR (95% CI)a

0.30 (0.22-0.41)

P 값 (양측)

p<0.0001

PFS2 (성숙도 40%)

사건 수: 총 환자 수 (%)

70:196 (36)

49:99 (50)

기간의 중앙값(개월)

NR

18.4

HR (95% CI)a

0.50 (0.34-0.72)

P 값 (양측)

p=0.0002

OS (성숙도 61%)

사건 수: 총 환자 수 (%)

116:196 (59)

65:99 (66)b

기간의 중앙값 (95% CI, 개월)

51.7 (41.5, 59.1)

38.8 (31.4, 48.6)

HR (95% CI)a

0.74 (0.54-1.00)

P 값 (양측)

p=0.0537

TFST

사건 수: 총 환자 수 (%)

92:196 (47)

79:99 (80)

기간의 중앙값(개월)

27.9

7.1

HR (95% CI)a

0.28 (0.21-0.38)

P 값*(양측)

p<0.0001

TDT

사건 수: 총 환자 수 (%)

112:196 (57)

86:99 (87)

기간의 중앙값(개월)

19.4

5.6

HR (95% CI)a

0.31 (0.23-0.42)

P 값*(양측)

p<0.0001

TSST

사건 수: 총 환자 수 (%)

68:196 (35)

60:99 (61)

기간의 중앙값(개월)

NR

18.2

HR (95% CI)a

0.37 (0.26-0.53)

P 값*(양측)

p<0.0001

*다중도에 대해 조절하지 않음

a<1의 수치는 올라파립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 분석은 이전 백금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CR 또는 PR) 및 끝에서 두 번째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에서 질병 진행까지 걸린 시간(>6-12개월 및 >12개월)을 공변량으로 포함하는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b대략적으로 위약 투여군 환자의 약 3분의 1이 (28/99; 28.3%) 후속 PARP 억제제 치료를 받았다.

bd 1일 2회; NR 도달되지 않음; OS 전체 생존; PFS 무진행 생존; CI 신뢰 구간; TDT 무작위 배정 후 투여중단 또는 사망까지 걸린 시간; TFST 무작위 배정 후 최초 후속 요법 시작 또는 사망시까지 걸린 시간; PFS2 무작위 배정 후 2차 진행까지 걸린 시간; TSST 무작위 배정 후 2차 후속 요법 시작 또는 사망시까지 걸린 시간

그림 2 SOLO2: 배선 BRCA 변이 PSR 난소암 환자들에서 PFS의 Kaplan-Meier plot (성숙도 63%­시험자 평가)

bd 1일 2회; PFS 무진행 생존

그림 3 SOLO2: 배선 BRCA 변이 PSR 난소암 환자들에서 OS의 Kaplan-Meier plot (성숙도 61%)

PSR 환자에서의 시험 Study 19

이 시험은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을 완료한 후 반응(CR 또는 PR)을 나타낸 265명(올라파립 군 136명, 위약군 129명)의 PSR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시까지 투여된 린파자 캡슐 유지치료 (400 mg [8 x 50 mg 캡슐] 1일 2회)의 유효성을 위약 투여와 비교하였다. 1차 평가변수는 RECIST 1.0를 이용한 시험자 평가에 근거한 PFS였다.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OS, 질병 조절률(DCR), HRQoL, 및 질병과 관련된 증상을 포함하였다. 탐색적 분석 TFST 및 TSST도 실시하였다.

이 시험은 올라파립 군에서 위약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관련된 PFS의 개선을 입증한 1차 목적을 만족하였으며, HR은 0.35였다 (95% CI 0.25-0.49; p<0.00001;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8.4개월 vs. 위약군에서 4.8 개월). 성숙도 79%의 OS에 대한 최종 분석에서 (자료 마감일 [DCO] 2016년 5월 9 일), 올라파립을 위약과 비교한 HR은 0.73이었다 (95% CI 0.55-0.95; p=0.02138 [전제된 유의 수준 <0.0095를 만족하지 못함];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29.8개월 vs. 위약군에서 27.8 개월). TFST 및 TSST도 올라파립 투여군에서 더 길었다 (표 4).

미리 계획된 하위군 분석 결과, 올라파립 유지 단독 요법에서 가장 큰 임상적 이익을 나타낸 하위군은 BRCA 변이 난소암 환자들로 (n=136, 51.3%) 확인되었다. 하위군 분석에서 다중도 전략은 적용되지 않았다. BRCA 변이 환자들에서, PFS 개선에 대한 HR은 0.18 이었다(95% CI 0.10-0.31; p<0.00001;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11.2개월 vs. 위약군에서 4.3개월). OS의 2차 평가변수에서, 올라파립의 위약과 비교한 HR은 0.62였다 (95% CI 0.42-0.93; p=0.02140;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34.9개월 vs. 위약군에서 30.2개월). 올라파립 투여군에서, 환자의 28.4%가 2년 이상 투여를 유지하였고, 14.9%가 5년 이상 투여를 유지하였다. 위약 투여군에서, 환자의 8.1%가 2년 이상 투여를 유지하였고, 1.6%가 5년 이상 투여를 유지하였다. TFST 및 TSST도 올라파립 투여 환자들에서 더 길었다(표 4).

Study 19에서 모든 환자 및 BRCA 변이 PSR 난소암 환자들에 대한 주요 유효성 결과는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표 4 Study 19에서 전체 환자 및 BRCA 변이 PSR 난소암 환자들에 대한 주요 유효성 결과 요약

 

전체 환자

BRCA 변이

 

올라파립 400 mg 캡슐 bd

위약

올라파립 400 mg 캡슐 bd

위약

PFS – DCO 2010년 6월 30일

사건 수: 총 환자 수 (%)

60:136 (44)

94:129 (73)

26:74 (35)

46:62 (74)

기간의 중앙값(개월)

8.4

4.8

11.2

4.3

HR (95% CI)a

0.35 (0.25-0.49)

0.18 (0.10–0.31)

P 값 (양측)

p<0.00001

p<0.00001

OS - DCO 2016년 5월 09일

사건 수: 총 환자 수 (%)

98:136 (72)

112:129 (87)

49:74 (66)

50:62 (81)b

기간의 중앙값(개월)

29.8

27.8

34.9

30.2

HR (95% CI)a

0.73 (0.55–0.95)

0.62 (0.42–0.93)

P 값* (양측)

p=0.02138

p=0.02140

TFST – DCO 2016년 5월 09일

사건 수: 총 환자 수 (%)

106:136 (78)

124:128 (97)

55:74 (74)

59:62 (95)

기간의 중앙값(개월)

13.3

6.7

15.6

6.2

HR (95% CI)a

0.39 (0.30-0.52)

0.33 (0.22–0.49)

P 값* (양측)

p<0.00001

p<0.00001

TSST – DCO 2016년 5월 09일

사건 수: 총 환자 수 (%)

104:136 (77)

119:128 (93)

53:74 (72)

56:62 (90)

기간의 중앙값(개월)

19.1

14.8

21.4

15.3

HR (95% CI)a

0.53 (0.40-0.69)

0.43 (0.29-0.64)

P 값* (양측)

p<0.00001

p=0.00003

* 하위군 분석 또는 전체 환자 TFST 및 TSST에 대하여 다중도 전략은 적용되지 않았다.

a HR= 위험비. <1의 수치는 올라파립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분석은 투여군, 인종적 기원, 백금민감도 및 최종 백금 요법에 대한 반응의 인자를 공변량으로 하는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b BRCA 변이 하위군에서 위약 투여군 환자의 약 4분의 1이 (14/62; 22.6%) 후속 PARP 억제제를 투여받았다.

bd 1일 2회; OS 전체 생존; PFS 무진행 생존; DCO 자료 마감일; CI 신뢰 구간; TFST 무작위 배정시점부터 최초 후속 요법 시작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 TSST 무작위 배정 시점부터 2차 후속 요법 시작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

진행성 난소암의 1차 병용 유지요법

PAOLA-1은 제 3상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다기관 시험이다. 새로 진단된 진행성(FIGO Stage III-IV) 고도의 상피성 난소암, 난관암 또는 일차 복막암의 유지요법으로 이 약(300mg(150mg x 2정) 1일 2회)과 베바시주맙(매 3주마다 1회씩, 1회 15 mg/kg 점적정맥주입)의 병용요법의 유효성을 위약과 베바시주맙의 병용과 비교하였다.

이 시험은 베바시주맙과 1차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을 완료한 후 완전 반응 또는 부분반응을 보였거나 완전한 수술적 절제로 질병의 증거가 없는 806명(2:1 무작위 배정: 올라파립/베바시주맙 537명 : 위약/베바시주맙 269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하였다. 환자는 1차 치료 결과(종양감축 수술의 시기와 결과 및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와 전향적 현지 검사로 결정된 tBRCA 변이 상태에 의해 층화 되었다. 환자는 유지요법 세팅에서 베바시주맙을 계속 복용하였으며 마지막 항암화학요법 투약 완료 다음에 최소 3주부터 최대 9주 후에 이 약의 치료를 시작하였다. 이 약의 치료는 2년까지 또는 기저 질환의 진행시까지 지속하였다. 주치의가 치료를 지속함으로써 추가적 이익을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하는 환자는 2년이 넘어도 치료받을 수 있었다. 베바시주맙의 치료는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 및 유지요법을 포함하여 총 최대 15개월이었다.

이 시험은 올라파립/베바시주맙과 위약/베바시주맙의 비교에서 시험자가 평가한 PFS가 임상적으로 의미있고 통계적으로 유효한 개선을 보였다(HR 0.59, 95% CI 0.49-0.72, p<0.0001 올라파립/베바시주맙 중앙값 22.1 개월 vs 위약/베바시주맙 16.6 개월). PFS에 대한 눈가림된 독립적 중앙 방사선(BICR) 검토는 시험자가 평가한 PFS의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HRD 양성 종양 환자(BRCA변이 또는 유전체 불안정성(종합 스코어 42점 이상)으로 정의) 387명에 대한 하위군 유효성 분석 결과는 아래 표5와 그림 4에 요약되어 있다.

표 5 유효성 결과 - PAOLA-1 (HRD-양성*, 시험자 평가)

 

올라파립/베바시주맙

(n=255)

위약/베바시주맙

(n=132)

PFS

사건 수 (%)

87 (34%)

92 (70%)

중앙값(개월)

37.2

17.7

HRa (95% CI)

0.33 (0.25, 0.45)

 

*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올라파립/베바시주맙 군에서 27.4개월, 위약/베바시주맙 군에서 27.5개월이었다.

a 분석은 층화되지 않은 Cox 비례 분석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CI 신뢰구간

그림 4 PAOLA-1: 새로 진단된 진행성 난소암 HRD 양성 환자에 대한 PFS의 Kaplan-Meier plot (성숙도 46% - 시험자 평가)

gBRCA-변이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의 수술후 보조요법

배선(g)-BRCA 변이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OlympiA 시험

OlympiA는 확정적 국소 치료 및 수술 전 보조/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을 완료한 배선(g) BRCA1/2 변이 및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 올라파립 (300 mg [2 x 150 mg 정제] 1일 2회) 대 위약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3상 무작위 배정, 이중-눈가림, 평행군, 위약-대조, 다기관 시험이었다. 환자는 안트라사이클린, 탁산계열 혹은 두 가지 모두를 포함하는 수술 전 보조/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을 최소 6 주기 이상 완료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전 암 (예. 난소)에 대한 선행 백금 혹은 유방암에 대한 수술 전 보조/수술 후 보조 요법이 허용되었다.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이전에 수술 전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삼중음성유방암(TNBC) 또는 호르몬수용체 양성 유방암인 환자는 수술 당시 유방 및/혹은 절제된 림프절에 잔류 침습성 암(비병리학적 완전 반응)이 있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는 표 6과 같이 치료 전 임상 및 치료 후 병기(CPS), 에스트로겐 수용체(ER) 상태 및 조직학적 등급을 기준으로 3 이상의 점수를 가져야 한다.

표 6 연구 등록을 위한 조기 유방암 단계, 수용체 상태 및 등급 채점 요건

병기/특징

점수

임상적 단계

(치료 전)

I/IIA

0

IIB/IIIA

1

IIIB/IIIC

2

병리학적 단계

(치료 후)

0/I

0

IIA/IIB/IIIA/IIIB

1

IIIC

2

수용체 상태

ER 양성

0

ER 음성

1

핵등급

Nuclear grade 1-2

0

Nuclear grade 3

1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는 총점 3점 이상 필요

이전 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 삼중 음성 유방암 (TNBC) 환자는 수술당시 유방 및 절제된 림프절에 병리학적으로 림프절 양성 소견이나 ≥ 2cm 침습성 원발성 종양이 있어야 한다; ER 및/또는 PgR 양성, HER2-음성 환자는 병리학적으로 확인된 4개 이상의 림프절 양성 소견이 있어야 한다.

환자는 올라파립 (n=921) 또는 위약 (n=915)에 1:1 비율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무작위 배정은 호르몬 수용체 상태 (ER 및/또는 PgR 양성/ HER2 음성 versus TNBC), 이전 수술 전 보조 화학요법 versus 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 유방암에 대한 이전 백금 사용 (예 versus 아니오)에 따라 층화되었다. 치료는 1년 또는 질병이 재발할 때까지 또는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HR 양성 (ER 및/혹은 PgR 양성) 종양이 있는 환자 또한 내분비 요법을 받았다.

1차 평가 변수는 무작위 배정에서 최초 재발일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된, 침습성 무질환 생존 (IDFS)이었는데, 여기서 재발은 국소적, 원격 재발, 반대쪽 침습성 유방암, 새로운 암 혹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으로 정의되었다. 이차 평가변수는 전체생존(OS), 원격 무질환 생존 (DDFS, 무작위배정에서 유방암의 최초 원격 재발의 증거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됨), 새로운 원발성 반대쪽 유방암 (침습성 및 비-침습성)의 발생, 새로운 원발성 난소암, 새로운 원발성 난관암 및 새로운 원발성 복막암], 및 FACIT-Fatigue 및 EORTC QLQ-C30 설문지를 활용한 환자 보고 결과를 포함하였다.

Myriad BRACAnalysis®로의 중앙 검사 또는 가능한 경우 로컬 gBRCA 검사가 임상 시험 적격성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로컬 gBRCA 검사 결과에 근거하여 등록된 환자는 BRACAnalysis®로의 후향적 확증 검사에 대한 검체를 제공하였다 (중국에서 등록된 환자 제외). OlympiA에 등록된 1836명의 환자 중, 1539명이 Myriad BRACAnalysis®에 의해 전향적 혹은 후향적으로 gBRCA 변이가 확인되었다.

인구통계학적 및 기저 특성은 두 군이 유사하였다. 연령 중앙값은 42세였다. 환자의 67%는 백인, 29%는 아시아인 및 2.6%는 흑인이었다. 올라파립 군에서 2명의 환자 (0.2%) 및 위약군에서 4명의 환자 (0.4%)는 남성이었다. 환자의 61%는 폐경 전이었다. 환자의 89%는 ECOG performance status 0점이었고 11%는 ECOG PS 1점이었다. 환자의 82%는 TNBC였고 18%는 호르몬 수용체-양성 질환 (ER 양성 및/혹은 PgR 양성으로 정의됨)이었다. 환자의 50%는 이전에 수술 전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경험이 있고 50%는 이전에 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환자의 94%는 안트라사이클린 및 탁산을 투여받았다. 전체 환자의 26%는 유방암에 대해 이전에 백금요법을 받았다. 올라파립 군과 위약군 중 호르몬 수용체 양성 질환이 있는 환자의 87%와 92%가 내분비 요법을 동시에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약군 대비 올라파립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IDFS의 개선을 입증하였다. 284명의 환자가 IDFS를 보였고, 이는 올라파립 군 환자의 12% (원격 8%, 국소/지엽적 1.4%, 반대쪽 침습성 유방암 0.9%, 유방 외 이차 원발성 악성종양 1.2%, 사망 0.2%) 및 위약군에서 20%의 환자 (원격 13%, 국소/지엽적 2.7%, 반대쪽 침습성 유방암 1.3%, 유방 외 이차 원발성 악성종양 2.3%, 사망 0%)에 해당한다. 위약군 대비 올라파립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DDFS의 개선 또한 관찰되었다. 다음 계획된 전체생존(OS) 분석에서는 위약군과 비교하여 올라파립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전체생존(OS) 개선이 관찰되었습니다.

FAS에서의 유효성 결과는 표 7 및 계층화 요인에 따른 하위군은 표 8에 제시된다.

표 7 OlympiA에서 gBRCA 변이가 있는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에서 주요 유효성 결과 요약

 

올라파립

300 mg bd

(n=921)

위약

(n=915)

IDFS(15% 성숙도) – DCO 2020년 03월 27일

사건 수/총 환자수 (%)

106/921 (12)

178/915 (20)

HR (99.5% CI) a,

0.58 (0.41, 0.82)

p값 (양측) b

0.0000073

3년동안 침습성 무질환 환자의 비율 c

86 (83, 88)

77 (74, 80)

DDFS(13% 성숙도) – DCO 2020년 03월 27일

사건 수/총 환자수 (%)

89/921 (10)

152/915 (17)

HR (99.5% CI) a,

0.57 (0.39, 0.83)

p값 (양측) b

0.0000257

3년동안 침습성 무질환 환자의 비율 c

88 (85, 90)

80 (77, 83)

OS (10% 성숙도) – DCO 2021년 07월 12일

사건 수/총 환자수 (%)

75/921 (8)

109/915 (12)

HR (98.5% CI) a,

0.68 (0.47, 0.97)

p값 (양측) b

0.0091

3년동안 침습성 무질환 환자의 비율 c

93 (91, 94)

89 (87, 91)

4년동안 침습성 무질환 환자의 비율 c

90 (87, 92)

86 (84, 89)

a 층화된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HR= 위험비. <1의 수치는 위약대비 올라파립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b p값 분석은 층화된 log-rank 시험을 이용하여 수행함.

c KM 추정치를 이용하여 계산된 퍼센트

bd 1일 2회; CI 신뢰 구간; DDFS 원격 무질환 생존; IDFS 침습성 무질환 생존; KM Kaplan-Meier; OS 전체 생존

그림 5 gBRCA 변이가 있는 HER2- 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IDFS의 Kaplan-Meier 도표

그림 6 gBRCA 변이가 있는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DDFS의 Kaplan-Meier 도표

그림 7 gBRCA 변이가 있는 HER-2 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OS의 Kaplan-Meier 도표

표 8 OlympiA에서 gBRCA 변이가 있는 HER2-음성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의 하위군별 IDFS

 

IDFS 사건 수/

총 환자수(%)

HR

(95% CI)a

3년동안 침습성 무질환 환자 비율 b

 

올라파립 300 mg bd

(N=921)

위약

(N=915)

 

올라파립 300 mg bd

(N=921)

위약

(N=915)

호르몬 양성체 상태

HR+/HER2-

19/168 (11)

25/157 (16)

0.70

(0.38, 1.27)

84

77

TNBC

87/751 (12)

153/758 (20)

0.56 (0.43,0.73)

86

77

이전에 수술전 보조화학요법 versus 수술후 보조화학요법

수술후 보조요법

36/461 (8)

61/455 (13)

0.60

(0.39, 0.90)

89

85

수술전 보조요법

70/460 (15)

117/460 (25)

0.56

(0.41, 0.75)

83

68

이전에 백금 투여여부

34/247 (14)

43/239 (18)

0.77

(0.49, 1.21)

82

77

아니오

72/674 (11)

135/676 (20)

0.52

(0.39, 0.69)

87

77

a 층화된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HR= 위험비. <1의 수치는 위약대비 올라파립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b KM 추정치를 이용하여 계산된 퍼센트

bd 1일 2회; CI 신뢰 구간; IDFS 침습성 무질환 생존; KM Kaplan-Meier

환자가 보고한 결과 평가는 FACIT-fatigue (피로 및 이의 일상 활동 및 기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함) 및 EORTC QLQ-C30 (전반적인 건강 상태/QoL, 기능 및 GI 증상을 평가하기 위함)을 포함하며, 이는 무작위 배정 이전 베이스라인 시점 및 무작위 배정 후 2년동안 6개월 마다 완료되었다. FACIT-fatigue 점수에서 3 점 차이 및 EORTC QLQ-C30 점수에서 10점 차이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환자가 보고한 결과 데이터는 FACIT-Fatigue 및 EORTC QLQ-C30 전반적 건강 상태/QoL 및 기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했을 때 위약 대비 올라파립 치료 환자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올라파립-치료 환자는 초기 평가 동안 (6개월 및 12개월 시점) EORTC QLQ-C30 구역/구토 점수가 더 좋지 않았는데 이는 베이스라인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후기 평가 (18개월 및 24개월 시점)에서는 위약-치료 환자와 동등하였다.

배선 BRCA 변이 HER2-음성 전이성 유방암

배선 BRCA 변이가 있는 HER2-음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 대한 OlympiAD 시험

이 시험은 제 3상 무작위 배정, 공개, 대조 시험으로, 진행시점까지 투여된 올라파립 (300 mg [2 x 150 mg 정] 1일 2회 투여)의 유효성을 의사가 선택한 항암화학요법 (카페시타빈, 에리불린 또는 비노렐빈)의 비교군과 비교하였다. 이 시험에서, 이전에 전이성 질병의 치료를 위해 최대 2가지의 항암화학요법의 경험이 있는 배선 BRCA 변이 HER2-음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 302명이 무작위 배정되었다 (2:1 무작위 배정: 올라파립 군 205명, 비교군 97명). 환자들은 다음에 근거하여 층화되었다: 전이성 유방암에 대한 과거 항암화학요법 경험 여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및/또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gR) 양성 대 ER 및 PgR 음성, 유방암에 대한 과거 백금 요법. 1차 평가변수는 RECIST 1.1을 이용하여 BICR에 의해 평가된 PFS였다. 2차 평가변수는 PFS2, OS, 객관적 반응률 (ORR) 및 HRQoL을 포함하였다.

이 시험은 올라파립 투여 환자들에서 비교군 환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PFS의 개선을 입증하여 1차 목적을 만족하였으며, HR은 0.58이었다 (95% CI 0.43-0.80; p=0.0009;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7.0개월 vs. 비교군에서 4.2개월) (표 6).

PFS2에서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관찰되었으며, HR은 0.57로 (95% CI 0.40-0.83; p=0.0033;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13.2 개월 vs 비교군에서 9.3개월), 올라파립에서 관찰된 이익이 후속 요법 사용에도 불구하고 명백하게 유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측정 가능한 질병의 환자 집단에서(77%), 올라파립 투여군 환자의 ORR은 60% (95% CI 52.0-67.4)였고, 비교성분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ORR은 29%였다 (95% CI 18.3-41.3). 반응 발현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47일인 반면 비교군에서는 45일이었다. 반응 지속 기간의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6.4개월인 반면, 비교군에서는 7.1개월이었다. 전체 생존은 최종 OS 분석 시점에서 성숙도 64% 였다 (DCO 2017년 9월 25일). 올라파립을 비교성분과 비교한 OS HR은 0.90였다 (95% CI 0.66-1.23; p=0.5131;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19.3개월 vs. 비교군에서 17.1개월). 중단된 환자들에서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25.3개월인 반면 비교군에서 26.3개월이었다.

환자 하위군들 간에 일관된 결과가 관찰되었다.

표 9 OlympiAD에서 배선 BRCA 변이 HER2-음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 대한 주요 유효성 결과의 요약

 

올라파립 300 mg bd

의사가 선택한 항암화학요법a

PFS (성숙도 77%) – DCO 2016년 12월 09일

사건 수: 총 환자 수 (%)

163:205 (80)

71:97 (73)

기간의 중앙값(개월)

7.0

4.2

HR (95% CI)

0.58 (0.43-0.80)

P 값 (양측)

p=0.0009

PFS2 (성숙도 52%) - DCO 2016년 12월 09일

사건 수: 총 환자 수 (%)

104:205 (51)

53:97 (55)

기간의 중앙값(개월)

13.2

9.3

HR (95% CI)

0.57 (0.40-0.83)

P 값 (양측)

p=0.0033

OS (성숙도 64%) – DCO 2017년 9월 25일

사건 수: 총 환자 수 (%)

130:205 (63)

62:97 (64)b

기간의 중앙값(개월)

19.3

17.1

HR (95% CI)

0.90 (0.66-1.23)

P 값 (양측)

p=0.5131

ORR - DCO 2016년 12월 09일

객관적 반응자 수: 측정 가능한 질병을 가진 총 환자 수 (%)

100:167 (60)

19:66 (29)

95% CI

52.0 to 67.4

18.3 to 41.3

완전 반응 (%)

15:167 (9)

1:66 (2)

부분 반응 (%)

85:167 (51)

18:66 (27)

a 의사가 선택한 항암화학요법은 카페시타빈, 에리불린 또는 비노렐빈으로 구성되었다.

b 의사가 선택한 군에서 환자의 약 10분의 1이(8/97; 8.2%) 후속 PARP 억제제 투여를 받았다

bd 1일 2회; CI 신뢰 구간; DCO 자료 마감일; HR 위험비; ORR 객관적 반응률; OS 전체 생존; PFS 무진행 생존; PFS2 2차 진행 또는 사망시까지 걸린 시간.

그림 8 OlympiAD: 배선 BRCA 변이 HER2-음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 대한 PFS의 Kaplan-Meier plot (성숙도 77%)

1차 치료 후 gBRCA 변이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유지 요법

이 시험(POLO)은 3상,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다기관 시험으로 gBRCA 변이 전이성 췌장암에서 이 약 유지요법(300mg(150mg정x 2) 1일 2회)의 유효성을 위약과 비교 평가하였다. 이 시험은 1차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을 최소 16주 받은 후 질병이 진행하지 않은 154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3:2 무작위배정 : 올라파립 군 92명, 위약군 62명)하였다. 치료받은 항암화학요법 기간의 상한은 없었다. 16주 간의 연속적인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 후, 백금 요법은 독성이나 지속하는 다른 약제로 인해 언제라도 중단될 수 있었으며 환자는 항암화학요법 중 진행의 증거가 없는 한 무작위 배정되었다. 이전 항암치료의 모든 독성은 CTCAE 등급1로 해결되었어야 하나 탈모, 말초 신경병증, Hgb ≥ 9 g/dL는 예외였다. 이 약의 치료는 기저질환의 진행 시까지 계속하였다.

1차 평가변수는 PFS였으며 수정된 RECIST 1.1로 BICR에 의해 결정된 무작위배정에서 진행 시까지의 시간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되었다. 이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OS, PFS2, TFST, TDT, ORR, DoR, HRQoL을 포함한다. 환자들은 베이스라인 및 무작위 배정일을 기준으로 40주동안 매 8주마다, 이 후에 객관적 방사선학적 질병 진행까지 12주 마다 종양 평가를 받았다. 중도절단으로 간주된 환자에서 PFS 추적관찰 기간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9.1 개월, 위약군에서 3.8개월이었다. 중도절단으로 간주된 환자에서 OS 추적관찰 기간 중앙값은 올라파립 군에서 31.3 개월, 위약군에서 23.9개월이었다.

이 시험은 위약군 대비 올라파립 군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HR 0.53(95% CI 0.35 - 0.82; p=0.0038; 중앙값 올라파립 군 7.4 개월 vs 위약군 3.8 개월)으로 PFS 개선을 입증했다. 연구자 평가에 의한 PFS 민감도 분석(95% CI 0.35 - 0.82; p=0.0038; 중앙값 올라파립 군 7.4 개월 vs 위약군 3.8 개월)은 BICR의 PFS 분석과 일치하였다. Kaplan-Meier 추정치에 근거하여 12, 24, 36개월에 생존하고 질병의 진행이 없는 환자의 비율은 올라파립 군에서 34%, 28%, 22%였으며 위약군에서 15%, 10%, 10%였다.

PFS 분석 시, DoR 중앙값은 위약군(3.7개월) 대비 올라파립 군(24.9개월)에서 길었으며 반응 시작 중앙값도 길었다(올라파립 군 5.4개월 vs 위약군 3.6개월).

OS 최종분석(70% 성숙도)에서 OS의 HR은 0.83이었으며(95% CI 0.56 - 1.22; p=0.3487; 중앙값 올라파립 군 19.0개월 vs 위약군 19.2개월) 통계적 유의성에 도달하지 못했다. 생존했거나 추적관찰 중인 환자의 비율은 올라파립 군이 28%, 위약군이 18%였다.

최종 OS 분석에서 PFS2의 HR은(성숙도 60%, 다중성 조절 안됨) 0.66이었으며(95% CI 0.42 - 1.02; p=0.0613) 중앙값 차이는 7.6개월로 올라파립 군에 유리하였다(중앙값 올라파립 군 16.9개월 vs 위약군 9.3개월). 임상적으로 의미 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TFST, TDT 개선이 올라파립 군에서 관찰되었다.

표 10 POLO 시험에서 gBRCA 변이 전이성 췌장암 환자에 대한 주요 유효성 결과 요약

 

올라파립

300mg bd

위약

PFS (성숙도 68%)

사건 수: 총 환자 수 (%)

60:92 (65)

44:62 (71)

기간의 중앙값(개월)

7.4

3.8

HR (95% CI)a,b

0.53 (0.35-0.82)

P 값 (양측)

p=0.0038

OS (성숙도 70%)

사건 수: 총 환자 수 (%)

61:92 (66)

47:62 (76)c

기간의 중앙값(개월)

19.0

19.2

HR (95% CI)b,c

0.83 (0.56-1.22)

P 값 (양측)

p=0.3487

ORR

객관적 반응자 수: 베이스라인에 측정가능한 질병을 가진 총 환자 수(%)

18:78 (23.1)

6:52 (11.5)

완전 반응(%)

2 (2.6)

0

부분 반응(%)

16 (20.5)

6 (11.5)

Odds 비 (95% CI)

2.30 (0.89, 6.76)

P 값*(양측)

p=0.1028

DoR

기간의 중앙값(개월) (95% CI)

24.9 (14.75, NC)

3.7 (2.10, NC)

a값이 <1이면 올라파립을 지지.

b분석은 log-rank 시험을 이용하여 수행함.

c올라파립 군의 6명(6.5%) 환자는 다음에 PARP 저해제를 받았으며 위약군의 16명(26%) 환자는 이 후의 차수 중에 PARP 저해제를 받았다.

* 다중성 조절되지 않음.

bd 1일 2회; CI 신뢰 구간; HR 위험비; ORR 객관적 반응률; OS 전체 생존; PFS 무진행 생존.

그림 9 POLO: gBRCA 변이 전이성 췌장암 환자에 대한 PFS의 Kaplan-Meier plot(성숙도 68% - BICR)

그림 10 POLO: gBRCA 변이 전이성 췌장암 환자에 대한 OS의 Kaplan-Meier plot (성숙도 70%)

BRCA 변이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이 시험은(PROfound) 3상, 무작위배정, 공개, 다기관 시험으로,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남성에서 이 약의(300mg(150mg정x 2) 1일 2회) 유효성을 대조군인 연구자 선택의 새로운 호르몬 치료제(엔잘루타마이드 또는 아비라테론아세테이트)와 비교 평가하였다. 환자들은 상동재조합복구 유전자 경로에 포함된 15개 유전자 중 하나에 변이가 있고 이전에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또는 전이성 전립선암의 치료를 목적으로 새로운 호르몬 치료제 사용 후 진행한 이력이 필요하였다. 모든 환자는 황체형성호르몬분비호르몬(LHRH) 유사체를 지속하거나 양쪽 고환 절제술을 받았다.

환자는 HRR 유전자 변이 상태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BRCA1, BRCA2 또는 ATM에 변이가 있는 환자는 A집단에 무작위배정 되었고 HRR 경로의 다른 12 유전자(BARD1, BRIP1, CDK12, CHEK1, CHEK2, FANCL, PALB2, PPP2R2A, RAD51B, RAD51C, RAD51D or RAD54L) 중 변이가 있는 환자는 B집단에 무작위배정 되었다.

이 시험은 387명을 무작위배정(2:1 무작위배정 : 올라파립 군 256명, 대조군 131명) 했으며, A집단은 245명(올라파립 군 162명, 대조군 83명) B집단은 142명(올라파립 군 92명, 대조군 48명)이었다. 이전의 탁산 사용과 측정가능한 질병의 증거로 층화 하였다. 치료는 질병이 진행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대조군에 무작위 배정된 환자들은 방사선학적 BICR 진행이 확정되면 올라파립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선택이 주어졌다.

시험의 일차 평가변수는 A집단에서 RECIST 1.1(연조직)과 PCWG3(뼈)을 이용하여 BICR에 의해 결정된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rPFS)이다. 주요 이차 평가변수는 BICR에 의해 확인된 객관적 반응률(ORR), BICR에 의한 rPFS, 통증 진행까지의 시간(TTPP) 및 전체 생존(OS)을 포함한다.

이 시험은 A집단 중 BRCA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에서 대조약 대비 올라파립에서 BICR 평가 rPFS 및 올라파립 대 비교군에 대한 최종 O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입증했다. ATM 변이가 있는 환자도 A집단에서 무작위배정 되었지만, 해당 환자 하위 집단에서는 긍정적인 유익성-위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표 11 PROfound 시험에서 BRCA 변이 환자의 주요 유효성 결과 요약

 

올라파립 300 mg bd

(N=102)

연구자 선택 새로운 호르몬 치료제 (N=58)

rPFS(BICR)a,b,c

사건 수: 총 환자 수 (%)

62/102 (61)c

51/58 (88)c

기간의 중앙값(개월) (95% CI)

9.8 (7.6, 11.3)

3.0 (1.8, 3.6)

HR (95% CI)c

0.22 (0.15, 0.32)

P 값 (양측)

<0.0001

OSa,c

사건 수: 총 환자 수 (%)

53/102 (52)

41/58 (71)

기간의 중앙값(개월) (95% CI)

20.1 (17.4, 26.8)

14.4 (10.7, 18.9)

HR (95% CI)

0.63 (0.42, 0.95)

P 값 (양측)

<0.01

확인된 ORR(BICR)

객관적 반응자 수: 베이스라인에 측정가능한 질병을 가진 총 환자 수(%)

25/57 (44)

0/33 (0)

Odds 비 (95% CI)

NC (NC, NC)

a다중성 조절되지 않음.

brPFS 성숙도 71%

cHR 및 CI는 이전의 탁산 사용과 측정가능한 질병으로 조정된 콕스 비례 위험도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bd 1일 2회; BICR 맹검 독립 중앙 검토; CI 신뢰 구간; HR 위험비; ORR 객관적 반응률; OS 전체 생존; rPFS 방사선학적 무진행 생존.

그림 11 BRCA 변이 환자: rPFS의 Kaplan-Meier plot(BICR)

그림 12 BRCA 변이 환자: OS의 Kaplan-Meier plot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1차 치료

PROpel은 mCRPC환자의 1차 치료로서 위약 + 아비라테론 대비 이 약 (300 mg [2 x 150 mg 정제] 1일 2회)과 아비라테론 (1000 mg [2 x 500 mg 정제] 1일 1회) 병용요법의 유효성을 비교하는 3상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다기관 시험이다. 두 시험군 모두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 5 mg을 1일 2회 투여받았다. mCRPC 단계 이전에 PSA 진행 (임상적 혹은 방사선학적) 없이 NHA (아비라테론 제외)로 치료한 경우는 무작위 배정 최소 12개월 전에 그 치료를 중단한 경우 허용되었다. 1-세대 항안드로겐 제제 (예., 비칼루타마이드, 닐루타마이드, 플루타마이드)로 치료 역시 허용되었으며, 이 경우 4주의 휴약기를 두었다. 도세탁셀 치료는 국소 전립선암 및 전이성 호르몬-민감성 전립선암 (mHSPC) 단계에서 수술 전 보조/수술 후 보조요법 치료로서, 이 치료 동안 또는 치료 직후 질병의 진행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한 허용되었다. 모든 환자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 호르몬 (GnRH) 유사체를 지속했거나 이전에 양측 고환절제술을 받았다.

이 시험은 조직학적으로 전립선 선암종이 확인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문서화된 전이성 병변이 뼈 또는 CT/MRI 스캔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정의된 전이 상태의 796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하였다 (1:1 무작위 배정; 399명 올라파립/아비라테론: 397명 위약/아비라테론). 환자는 전이(뼈만 해당, 내장 또는 기타) 및 mHSPC 단계에서의 도세탁셀 치료여부(예 혹은 아니오)로 층화되었다. 질병의 진행시 또는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나타날 때까지 치료를 지속했다.

인구통계학 및 기저 특성은 두 군이 유사하였다. 환자의 연령 중간값은 69세였고, 대부분의 환자 (71%)는 65 세 이상이었다. 179명(22.5%)의 환자는 이전에 mHSPC 단계에서 도세탁셀 치료를 받았다. 총 434명(55%)의 환자가 뼈 전이(뼈에 전이되고 다른 원거리 부위가 없음), 105명(13%) 환자가 내장 전이(원거리 연조직 전이. 예. 간, 폐)가 있었다. 257명(32%)의 환자는 다른 전이가 있었다(예를 들어, 뼈 전이 그리고 원격 림프절이 있는 환자 또는 질병이 원격 림프절에만 존재하는 환자를 포함할 수 있음). 두 군 모두에서 환자 대부분은 ECOG performace status가 0점이었다 (70%).

HRR 유전자 변이 상태는 ctDNA 및 종양 조직 시험으로 후향적으로 평가되었다. 시험된 환자 중, ctDNA 및 종양 조직으로 확인된 HRRm은 각각 198명 및 118명이었다. HRRm 환자 분포는 두 군이 유사하였다.

1차 평가 변수는 rPFS로, 무작위 배정에서 방사선학적 질병의 진행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되며 RECIST 1.1 및 PCWG-3 기준 (뼈)에 근거하여 연구자 평가로 결정된다. 주요 2차 유효성 평가 변수는 전체 생존 (OS)이다. 추가적인 2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이차 진행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PFS2), 첫 번째 후속 치료 또는 사망까지의 시간(TFST) 및 건강상태 관련 삶의 질(HRQoL) 평가를 포함했다.

중간 rPFS 분석 당시, 연구자 평가 결과 올라파립/아비라테론은 방사선학적 질병의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을 위약/아비라테론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있게 개선하였다(HR 0.66, 95% CI 0.54, 0.81; p<0.0001). 눈가림된 독립중앙심사위원회(BICR)에 따른 rPFS의 민감도 분석은 HR 0.61(95% CI 0.49, 0.74; p<0.0001)로 연구자 평가 기반 결과 분석과 일치하였다. rPFS 중간값은 각각 올라파립/아비라테론 군에서 27.6 개월 vs 위약/아비라테론 군에서 16.4 개월이었다.

mHPC에서 이전에 탁산을 투여받았는지 여부, 베이스라인에서 다른 전이성 질병 (뼈만 해당 vs 내장 vs 기타)이 있었던 환자, HRRm여부를 포함한 사전에 정의된 하위군 분석에서 위약/아비라테론 대비 올라파립/아비라테론은 rPFS 개선을 보였다.

위약/아비라테론 군 대비 올라파립/아비라테론 군에서 PFS2 및 TFST의 개선이 있었다.

미리 계획된 마지막 분석에서 올라파립/아비라테론 군과 위약/아비라테론 군에서 36개월 생존한 환자의 비율은 각각 57%와 50%이었다.

표 12 PROpel에서 1차 mCRPC 환경의 주요 유효성 발견사항 요약

 

올라파립/아비라테론

(N = 399)

위약/아비라테론

(N = 397)

rPFS (연구자 평가) (50% 성숙도) (2021년 07월 30일)

사건 수/총 환자수 (%)

168/399 (42.1)

226/397 (56.9)

중앙값 (95% CI) (개월)d

24.8 (20.5, 27.6)

16.6 (13.9, 19.2)

HR (95% CI)a

0.66 (0.54, 0.81)

p-valueb

<0.0001

마지막 분석 OS (48% 성숙도) (2022년 10월 12일)

사건 수/총 환자수 (%)

176/399 (44.1)

205/397 (51.6)

중앙값 (95% CI) (개월)d

42.1 (38.4, NC)

34.7 (31.0, 39.3)

HR (95% CI)a

0.81 (0.67, 1.00)

p-valueb

p=0.0544

PFS2 (21% 성숙도) (2021년 07월 30일)

사건 수/총 환자수 (%)

70/399 (17.5)

94/397 (23.7)

중앙값 (95% CI) (개월)d

NC (NC, NC)

NC (NC, NC)

HR (95% CI)a

0.69 (0.51, 0.94)

p-valueb,c

p=0.0184

TFST (51% maturity) (2021년 07월 30일)

사건 수/총 환자수 (%)

183/399 (45.9)

221/397 (55.7)

중앙값 (95% CI) (개월)d

25.0 (22.2, NC)

19.9 (17.1, 22.0)

HR (95% CI)a

0.74 (0.61, 0.90)

p-valueb,c

p=0.0040

a HR 및 CI는 1차 pooling 전략(전이, mHSPC 단계에서 도세탁셀 치료)에서 선택된 변수에 대해 조정된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됨. Efron 접근법은 동측치를 처리하는 데 사용됨. HR <1이면 올라파립 300mg bd+아비라테론 1000mg 1일 1회 병용요법에게 유리한 결과임.

b 1차 pooling 전략에서 선택한 동일한 변수로 계층화된 로그 순위 검정을 사용하여 양측 p-값을 계산함.

c 평가변수가 알파 제어가 아니므로 제시된 p-값은 명목값임.

d Kaplan-Meier technique을 사용하여 계산함.

표 13 PROpel 시험 하위군에서 1차 mCRPC 환경의 주요 유효성 결과 요약

 

 

군(환자수)

HRR 변이

HRR 비변이

올라파립

 

/아비라테론

(N=111)

위약/아비라테론

(N=115)

올라파립

 

/아비라테론

(N=279)

위약/아비라테론

(N=273)

rPFS(연구자 평가) (2022년 10월12일)

사건 수(%)

60(54.1)

89(77.4)

152(54.5)

182(66.7)

중앙값(개월)a

30.13

13.86

24.64

18.96

HR(95% CI)b

0.51(0.36, 0.70)

0.79(0.64, 0.98)

OS (2022년 10월12일)

사건 수(%)

48(43.2)

69(60.0)

123(44.1)

132(48.4)

중앙값(개월)a

NC

28.45

42.05

38.90

HR(95% CI)b

0.66(0.45, 0.95)

0.89(0.70, 1.14)

 

 

 

군(환자수)

HRR 변이

BRCA 변이

BRCA 비변이

올라파립/아비라테론

(N=47)

위약/아비라테론

(N=38)

올라파립/아비라테론

(N=64)

위약/아비라테론

(N=77)

rPFS(연구자 평가) (2022년 10월12일)

사건 수(%)

18(38.3)

31(81.6)

42(65.6)

58(75.3)

중앙값(개월)a

38.51

8.38

23.66

16.62

HR(95% CI)b

0.23(0.12, 0.40)

0.81(0.54, 1.21)

OS (2022년 10월12일)

사건 수(%)

13(27.7)

25(65.8)

35(54.7)

44(57.1)

중앙값(개월)a

NC

22.97

31.87

33.71

HR(95% CI)b

0.29(0.14, 0.56)

1.01(0.64, 1.57)

a Kaplan-Meier technique을 사용하여 계산함.

b HR 및 CI는 투여군, 하위군 인자 및 하위군-투여군 상호작용의 항을 포함하는 Cox 비례 위험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됨. CI는 profile likelihood법을 사용하여 계산됨. Efron 접근법은 동측치를 처리하는 데 사용됨. HR <1이면 올라파립+아비라테론 병용요법에게 유리한 결과임.

그림 13 PROpel: rPFS의 Kaplan-Meier 도표

그림 14      PROpel: OS의 Kaplan-Meier 도표

FACT-P 총 점수, BPI-SF 통증 중증도 및 통증 간섭 점수의 베이스라인으로부터 변화를 포함하는 PRO 측정의 분석 결과는, 위약/아비라테론 군 대비 올라파립/아비라테론 군에서 전반적인 손상을 보이지 않았다. FACT-P 하위척도 점수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QT 간격에 대한 영향

1일 2회 300mg으로 올라파립 반복 투여 후 심장 재분극에 대한 올라파립의 임상적으로 관련된 영향은 없다 (QT 간격에 대한 영향으로 평가함).

4) 전임상 안전성 정보

돌연변이성

올라파립은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생체 외 포유류 세포에서 염색체 이상 유발(clastogenic)이 나타났다. 랫드에 경구 투여하였을 때, 올라파립은 골수에서 소핵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염색체 변이원성은 올라파립의 일차 약리학과 일치하며, 인간에서 유전독성 가능성을 시사했다.

반복 투여 독성

랫드와 개를 대상으로 한 최대 6개월 동안의 반복 독성 시험에서, 올라파립을 매일 경구 투여하였을 때 내약성이 우수하였다. 두 종 모두에서 독성에 대한 주요 일차 표적 기관은 골수였고, 이와 관련하여 말초 혈액학적 지표들의 변화를 동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나타난 것보다 낮은 노출에서 발생하였고, 투여 중단 4주 이내에 거의 회복되었다. 인간 골수 세포를 사용하는 시험에서도 올라파립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로 체외(ex vivo) 시험에서 골수 세포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식 독성

올라파립은 수컷 랫드의 수태력에 영향이 없었다. 랫드 암컷 수태력 시험에서, 교미능력과 수태력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일부 동물에서 연장된 발정기가 관찰되었다. 이 시험에서 배태자 생존은 감소하였다. 랫드 배태자 발달 시험에서, 올라파립은 유의한 모체 독성을 유도하지 않는 용량 수준에서 배태자 생존 감소, 태자 체중 감소, 및 태자 발달 이상을 나타내었다(내장 및 골격 이상, 및 주요 안구 및 척추/늑골 기형 포함).

발암성

올라파립에 대한 발암성 시험은 실시되지 않았다.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도움말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 - 단일/복합, DUR유형, 제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단일/복합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DUR유형 제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단일/복합단일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올라파립 DUR유형 임부금기 제형필름코팅정,경질캡슐제, 산제 금기 및 주의내용 2등급 비고
단일/복합단일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올라파립 DUR유형 수유부주의 제형필름코팅정 금기 및 주의내용 비고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RMP대상, 포장 정보, 보험 약가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48개월
재심사대상 재심사대상(6년) [2019-10-29 - 2025-10-28]
RMP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56정(8정/PTPx7)
보험약가 650701120 ( 38842원-2021.10.01~)
ATC코드
L01XK01 (olaparib)

수입실적(단위 : $) ※ 외환은행에서 제공한 년도별 평균환율 적용으로 인해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수입실적 - 년도, 수입실적
년도 수입실적
2022 4,322,663
2021 903,537
2020 294,194
2019 111,097

변경이력

변경이력 -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1 변경일자2023-10-23 변경항목사용상의 주의사항
순번2 변경일자2023-02-23 변경항목효능·효과
순번3 변경일자2023-02-23 변경항목용법·용량
순번4 변경일자2023-02-23 변경항목사용상의 주의사항
순번5 변경일자2021-10-06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6 변경일자2021-10-06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7 변경일자2021-10-06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8 변경일자2021-03-09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9 변경일자2021-03-09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10 변경일자2021-03-09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특허정보

특허정보 테이블 - 순번, 특허권등재자, 특허권자, 특허번호, 등재일자, 존속기간만료일자, 상세보기
순번 특허권등재자 특허권자 특허번호 등재일자 존속기간만료일자 상세보기
순번1 특허권등재자한국아스트라제네카(주) 특허권자쿠도스 파마슈티칼스 리미티드 특허번호 10-0804564-0000 등재일자2020-02-03 존속기간만료일자2022-01-18 상세보기 상세보기
순번2 특허권등재자한국아스트라제네카(주) 특허권자더 유니버시티 오브 셰필드 특허번호 10-1136702-0000 등재일자2020-02-03 존속기간만료일자2024-07-23 상세보기 상세보기
순번3 특허권등재자한국아스트라제네카(주) 특허권자쿠도스 파마슈티칼스 리미티드 특허번호 10-1146806-0000 등재일자2020-02-03 존속기간만료일자2024-06-05 상세보기 상세보기
순번4 특허권등재자한국아스트라제네카(주) 특허권자쿠도스 파마슈티칼스 리미티드 특허번호 10-1668499-0000 등재일자2020-02-03 존속기간만료일자2029-10-05 상세보기 상세보기

관련검토서정보

관련검토서정보 테이블 - 순번, 제목, 첨부파일명, 다운로드
순번 제목 첨부파일명 다운로드
1 [신약] 린파자정100,150밀리그램 [신약]린파자정100,150밀리그램 허가검토서.pdf
2 린파자정100밀리그램(올라파립) 외 1품목 의약품 품목변경허가 보고서(린파자정100밀리그램 외 1품목).pdf
3 [신약_변경]린파자정100밀리그램 외 1품목 의약품 변경허가 보고서_린파자정100밀리그램 외 1품목.pdf
top 이전 뒤로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