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외)품상세정보

멘쿼드피주(수막구균(A,C,Y,W)다당류-TT단백접합백신)

멘쿼드피주(수막구균(A,C,Y,W)다당류-TT단백접합백신)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제품명 멘쿼드피주(수막구균(A,C,Y,W)다당류-TT단백접합백신)
성상 무색투명한 액이 무색투명한 바이알에 든 주사제
업체명
위탁제조업체
전문/일반 전문의약품
허가일 2024-03-06
품목기준코드 202400487
표준코드 8806520015904, 8806520015911
허가심사유형 자료제출의약품(생물학적제제)

생동성 시험 정보

생동성시험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의약품상세정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원료약품 및 분량

1바이알(0.5 밀리리터) 중-

원료약품 및 분량 - 원료약품 및 분량으로 순번, 성분명, 분량, 단위, 규격, 성분정보, 비교의 정보를 제공
순번 성분명 분량 단위 규격 성분정보 비교
1 수막구균혈청형A다당류와파상풍톡소이드접합단백질[균주: N. meningitidis group A, 접합단백질용 균주: C. tetani] 10 마이크로그램 별규 수막구균 혈청형 A 다당류(10마이크로그램), 파상풍톡소이드 단백질(총량으로 약 55마이크로그램)
2 수막구균혈청형C다당류와파상풍톡소이드접합단백질[균주: N. meningitidis group C, 접합단백질용 균주: C. tetani] 10 마이크로그램 별규 수막구균 혈청형 C 다당류(10마이크로그램), 파상풍톡소이드 단백질(총량으로 약 55마이크로그램)
3 수막구균혈청형Y다당류와파상풍톡소이드접합단백질[균주: N. meningitidis group Y, 접합단백질용 균주: C. tetani] 10 마이크로그램 별규 수막구균 혈청형 Y 다당류(10마이크로그램), 파상풍톡소이드 단백질(총량으로 약 55마이크로그램)
4 수막구균혈청형W다당류와파상풍톡소이드접합단백질[균주: N. meningitidis group W, 접합단백질용 균주: C. tetani] 10 마이크로그램 별규 수막구균 혈청형 W 다당류(10마이크로그램), 파상풍톡소이드 단백질(총량으로 약 55마이크로그램)

첨가제 : 염화나트륨,아세트산나트륨,주사용수

효능효과 PDF다운로드 XML다운로드 HTML다운로드

2 ~ 55세에서 Neisseria meningitidis A, C, W 및 Y 군에 의한 침습성 수막구균 질환의 예방

용법용량 PDF다운로드 XML다운로드 HTML다운로드

1. 접종방법

이 백신은 1회 0.5ml를 근육주사하며, 접종자의 나이 및 근육량에 따라 삼각근 부위나 대퇴부 전외측에 투여해야 한다.

이 백신은 피내주사 또는 피하주사 해서는 안 된다.

2. 접종연령 및 횟수

2 ~ 55세에서 1회 투여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PDF다운로드 XML다운로드 HTML다운로드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백신의 성분에 대하여 과민반응이 있거나 이 백신의 성분과 동일한 백신에 의해 과민반응 병력이 있는 자

2. 이상사례

1) 임상시험

이 백신의 안전성은 수막구균 백신 접종 경험이 없는 건강한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2~55세)에게 단회 투여하여 수행된 여러 무작위배정, 활성대조, 다기관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었다. 보고된 약물이상반응의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매우 흔하게 (very common): ≥1/10

- 흔하게 (common): ≥1/100 및 <1/10

- 때때로 (uncommon): ≥1/1,000 및 <1/100

- 드물게 (rare): ≥1/10,000 및 <1/1,000

- 매우 드물게 (very rare): <1/10,000

① 2~9세 시험대상자

2~9세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은, 무작위, 활성 대조, 수정된 이중 맹검 시험(MET35)을 통해 평가되었다. 안전성 분석 세트에는 이 백신을 투여한 498명의 시험대상자와 대조백신을 투여한 494명의 시험대상자가 포함되었다.

이 백신 또는 대조백신 투여 후 7일 이내에 발생한 예상된 약물이상반응(Solicited adverse reactions)의 비율 및 빈도는 표 1에 나열되어 있다.

이 백신 투여 후 예상되지 않은 주사 부위 약물이상반응(Unsolicited injection-site adverse reactions)에는 멍(0.4%), 경화(0.2%) 및 온기(0.2%)이 포함되었다. 이 백신 접종자에게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평가되며 최소 1% 빈도(인과관계에 관계없이)의 예상되지 않은 전신 약물이상반응(Unsolicited systemic adverse reactions)은 구토(이 백신 2.4%, 대조백신 2.2%), 상복부 통증(이 백신 1.4%, 대조백신 1.0%)을 포함하여 한 번 이상 발생하였다.

이 백신 접종자에게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전신 약물이상반응(Unsolicited systemic adverse reactions)은 구토(0.6%)였으며, 상복부 통증(0.4%) 및 자극과민성(0.4%)이었다.

중대한 이상사례(Serious Adverse Events, SAEs)는 전체 연구 기간 동안 이 백신 투여 후 1.4%, 대조백신 투여 후 0.6%의 비율로 발생하였다. 어떤 SAE도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표 1:­ 2~9세 시험대상자에서 접종 후 7일 이내에 예상된 주사 부위 반응 및 전신 반응의 빈도 (MET35)

 

이 백신 (N=498) %

대조 백신 (N=494) %

 

전체

Grade 3

전체

Grade 3

국소 반응

주사 부위 통증

38.6

0.6

42.4

1.0

주사 부위 홍반§

22.6

3.1

31.5

9.9

주사 부위 종창§

13.8

1.4

21.5

5.6

전신 반응

근육통

20.1

0.4

23.0

0.8

병감(권태)

21.1

1.8

20.4

1.0

두통

12.5

0.0

11.5

0.4

#

1.9

0.0

2.7

0.4

‡ Grade 3: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없음

§ 전체: > 0 mm; Grade 3: ≥ 50 mm

¶ Grade 3: 일상활동을 방해함

# 전체: ≥ 38.0°C; Grade 3: ≥ 39.0°C

② 10~17세 시험대상자

10~17세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은 두 가지 임상 시험(MET43 및 MET50)에서 평가되었다. MET43은 무작위 배정, 활성 대조, 수정된 이중 맹검 시험이었고, MET50는 무작위, 대조, 공개 라벨 병용 시험이었다. 두 연구의 안전성 분석 세트에는 이 백신만 투여한 참가자(1,684명), 이 백신을 다른 백신과 병용 투여한 참가자(392명), 이 백신 없이 병용 백신을 투여한 참가자(296명) 또는 대조백신을 투여한 참가자(824명)가 포함되었다. 병용 시험에서는 아다셀(Tdap) 및 가다실(HPV)을 이 백신과 함께 투여하였다. 대조백신은 대조백신1(323명) 또는 대조백신2(501명)이였다.

이 백신 또는 대조백신 투여 후 7일 이내에 발생한 예상된 약물이상반응의 비율 및 빈도는 표 2에 나열되어 있다.

MET50 또는 MET43에서, 이 백신 투여 후 예상되지 않은 주사 부위 약물이상반응은 소양증(0.6%, 0.7%), 발진 (0.2%, 0.2%), 온기(0.8%, 0.5%), 멍(0.2%, <0.1%) 및 경화(0.0%, 0.2%) 포함하여, 최소 0.1%의 빈도로 나타났다. 이 백신 접종자에게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평가되며 최소 1% 빈도(인과 관계에 관계없이)의 예상되지 않은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없었다.

MET50에서 이 백신 접종자에게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오심(0.2%; 이 백신 단독)이었다. MET43에서 이 백신 접종자에게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오심(0.3%), 구토(0.2%), 피로(0.2%), 어지러움(0.3%) 이었다.

SAE는 전체 연구 기간 동안 이 백신 단독 투여 후 0.3%-0.8%, MET50 연구에서 대조백신 투여 후 0.8%, MET43연구에서 대조백신 투여 후 0.9%의 비율로 발생하였다. 어떤 SAE도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백신 접종 후 30분 이내에 일부 참가자가 어지러움이나 실신을 경험하였다(이 백신[어지러움 0.2%], 대조백신1[실신 0.2%], 대조백신2[0.0%]). 이러한 사건은 심각하지 않았으며 당일에 자발적으로 해결되었다.

표2: 10~17세 시험대상자에서 접종 후 7일 이내에 예상된 주사 부위 반응 및 전신 반응의 빈도 (MET50, MET43)

 

MET50

MET43

이 백신

(N=503) %

대조백신 1

(N=501) %

이 백신

(N=1181) %

대조백신 2

(N=323) %

전체

Grade 3

전체

Grade 3

전체

Grade 3

전체

Grade 3

국소 반응

주사 부위 통증§

45.2

1.4

42.5

1.0

34.8

1.8

41.4

2.2

주사 부위 홍반

5.0

0.4

7.5

1.2

4.5

0.3

4.5

0.3

주사 부위 종창

5.4

0.2

6.5

0.4

4.1

<0.1

4.8

0.0

전신 반응

근육통§

35.3

1.6

35.2

1.8

27.4

1.9

31.2

1.9

두통§

30.2

1.8

30.9

1.8

26.5

2.3

28.0

1.9

병감(권태)§

26.0

2.2

26.4

2.8

19.4

1.2

23.9

1.3

#

1.4

0.4

1.2

0.6

0.7

0.2

0.6

0.0

§ Grade 3: 일상활동을 방해함

¶ 전체: > 25 mm; Grade 3: > 100 mm

#전체: ≥ 38.0°C; Grade 3: ≥ 39.0°C

아다셀(Tdap) 및 가다실(HPV)과의 병용

예상된 전신 약물이상반응의 전체 비율은 이 백신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52.0%) 또는 이 백신 없이 아다셀(Tdap)과 가다실(HPV)을 투여한 경우(65.9%)보다 이 백신을 아다셀(Tdap) 및 가다실(HPV)과 병용투여한 경우(70.6%)에서 더 높았다. 세 그룹에서 가장 흔한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근육통(이 백신 + Tdap + HPV, 61.3%; Tdap +HPV, 55.4%; 이 백신 단독, 35.3%)과 두통(이 백신 + Tdap + HPV, 33.8%; Tdap +HPV, 29%; 이 백신 단독, 30.2%) 이었다. 이 백신을 아다셀(Tdap) 및 가다실(HPV)과 병용 투여한 경우, 이 백신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 이 백신 없이 아다셀(Tdap) 및 가다실(HPV)을 투여한 경우, 각 예상된 주사 부위의 국소 약물이상반응 비율은 유사했다.

③ 18~55세 시험대상자

18~55세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은, 무작위, 활성 대조, 수정된 이중 맹검 시험(MET43)을 통해 평가되었다. 안전성 분석 세트에는 이 백신을 투여한 1,495명의 시험대상자와 대조백신을 투여한 312명의 시험대상자가 포함되었다.

이 백신 또는 대조백신 투여 후 7일 이내에 발생한 예상된 약물이상반응의 비율 및 빈도는 표 3에 나열되어 있다.

이 백신 투여 후 예상되지 않은 주사 부위 약물이상반응 중 빈도 0.1% 이상의 반응에는 소양증(0.8%), 온기(0.3%) 및 종괴(0.1%)가 포함되었다. 이 백신 접종자에게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평가되며 최소 1% 빈도(인과 관계에 관계없이)의 예상되지 않은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없었다.

이 백신 접종자에게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전신 약물이상반응은 오심(0.1%), 피로(0.1%), 어지러움(0.2%), 미각 이상(0.1%) 이었다.

백신 접종 후 30분 이내에 일부 참가자가 어지러움을 경험했다(이 백신 0.3%, 대조백신 0.3%). 이러한 사건은 심각하지 않았으며 당일에 자발적으로 해결되었다.

SAE는 전체 연구 기간 동안 이 백신 투여 후 1.6%, 대조백신 투여 후 0.6%의 비율로 발생했다. 어떤 SAE도 백신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표3: 18~55세 시험대상자에서 접종 후 7일 이내에 예상된 주사 부위 반응 및 전신 반응의 빈도 (MET43)

 

이 백신 (N=1495) %

대조백신 (N=312) %

전체

Grade 3

전체

Grade 3

국소 반응

주사 부위 통증

41.9

1.9

35.0

1.3

주사 부위 홍반§

5.1

0.3

3.7

0.3

주사 부위 종창§

4.3

0.2

3.4

0.3

전신 반응

근육통

35.6

3.6

31.2

2.3

두통

29.0

2.9

27.6

2.7

병감(권태)

22.9

2.9

18.9

3.3

1.4

0.1

1.7

0.7

‡ Grade 3: 일상활동을 방해함

§ 전체: > 25 mm; Grade 3: > 100 mm

¶ 전체: ≥ 38.0°C; Grade 3: ≥ 39.0°C

3. 일반적 주의

1) 이 백신을 투여한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대비하여 즉시 적절한 응급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2) 다른 백신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백신 접종자에서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3) 주사에 대한 심인성 반응으로 모든 예방접종 전이나 그 후에 실신이 일어날 수 있다. 낙상을 예방하고 실신 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

4) 면역억제요법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포함한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에서는 이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이 감소할 수 있다.

5) 특정한 보체가 결핍된 사람과 말단 보체 활성화를 억제하는 치료(예. 에쿨리주맙)를 받는 사람의 경우 이 백신에 따른 예방접종 이후 항체가 생길지라도 수막구균 A, C, W 및 Y군에 의한 침습성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6) 이 백신에 따른 예방접종은 일상적인 파상풍 예방접종을 대신하지 않는다.

7) 운전 및 기계 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8) 국내 허가된 다른 수막구균 4가 접합백신 접종 후 시간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길랭-바레 증후군(GBS)이 보고되었다. 이전에 GBS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자에게는 잠재적 유익성 및 위해성을 판단하여 접종을 결정해야 한다.

4. 상호작용

1) 이 백신은 10~17세에게 아다셀(Tdap) 및 가다실(HPV)과 병용투여가 가능하다. 수막구균 백신을 투여하지 않은 10~17세에게 아다셀(Tdap)과 가다실(HPV)을 병용투여(Tdap+HPV) 했을 때 대비 이 백신과 아다셀(Tdap) 및 가다실(HPV)을 병용투여(MenACWY-TT+Tdap+HPV) 했을 때, 이 백신 또는 병용 백신에 포함된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은 비열등성 기준을 충족하였다. 다만, PT에 대한 항체 반응은 열등하지 않았으나, FHA, PRN 및 FIM에 대한 항체 반응은 비열등성 기준을 충족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 4가 수막구균 접합백신에서도 관찰된 백일해 항원 반응의 임상적 의미는 확인되지 않았다.

2) 위에 기술된 연구 이외에는 이 백신과 다른 백신과의 병용투여가 연구되지 않았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임부에서 이 백신에 대해 수행된 임상시험은 없다.

이 백신이 임신 중의 사용에 안전한지 여부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암컷 토끼를 대상으로 생식·발생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암컷 토끼에게 사람 대상 용량의 이 백신(0.5mL)을 교배 전 2회(-30일, -10일), 임신 중 3회(GD 6일, 12일, 27일) 접종하였다. 이 시험에서 배-태자발달(기형 유발성에 대한 평가 포함)이나 초기 생후 발달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백신은 모체 및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유익성이 잠재적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임부에게 사용해야 한다.

2) 수유부

이 백신이 모유 수유 중의 사용에 안전한지 여부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이 백신은 모체 및 태아에 대한 잠재적인 유익성이 잠재적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수유부에게 사용해야 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이 백신은 2 세 미만 소아에 대해 허가되지 않았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백신은 56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해 허가되지 않았다.

8. 적용상의 주의

1) 이 백신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용액이다.

2) 이 백신은 투여하기 전에 어떠한 이물이나 물리적 성상의 변화에 대해 육안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 바이알 씰을 제거하고 주사기와 주사침을 사용하여 바이알에서 0.5mL의 용액을 빼내고, 주입하기 전에 기포가 없는지 확인한다.

4) 이 백신은 동일한 바이알 내에서 다른 백신과 혼합하면 안 된다.

5) 이 백신과 다른 주사용 백신을 동시접종 할 때에는 다른 팔다리에 수행해야 한다.

9.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이 백신은 동결을 피하여 냉장(2∼8℃) 보관하고, 얼리지 않는다.

2) 유효기한을 초과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10.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정보

(1) 작용 기전

침습성 수막구균 질환(IMD)은 사람에서만 발견되는 그람 음성 쌍구균인 수막구균(N. meningitidis)이 원인이다. 살균 항-피막 수막구균 항체의 존재는 IMD로부터의 보호와 연관되어 있다. 이 백신은 수막구균 혈청형 A, C, W 및 Y의 피막 다당류에 특이적인 살균 항체의 생성을 유도한다.

2) 임상시험 정보

(1) 면역원성

수막구균 백신 접종 경험이 없는 건강한 어린이 및 청소년(2-17세), 성인(18-55세)에 대한 이 백신 단회 용량 기초접종을 위한 면역원성은 여러 무작위배정, 활성대조, 수정된 이중맹검, 다기관 중추 임상연구(MET35, MET43)에서 평가되었다.

1차 면역원성 분석은 외인성 보체(hSBA)의 공급원으로 인간 혈청을 사용하여 혈청 살균 활성(SBA)을 측정하여 수행했다.

<2~9세 어린이에서의 면역원성>

이 백신(MenQuadfi) 또는 대조백신(MenACWY-CRM) 투여 후 혈청 반응을 비교하는 MET35 연구에서 2~9세의 면역원성을 평가했다.

전반적으로 2~9세에서 4개의 혈청형 모두에 대해, 대조백신과 비교하여 이 백신에서 혈청반응에 기반한 면역 비열등성이 입증되었고, 표 4 와같다.

표 4. 2~9세에서 이 백신(MenQuadfi) 및 대조백신(MenACWY-CRM) 투여 30일 후 hSBA 혈청반응률 및 GMT (MET35)

혈청형 별 평가변수

이 백신

(95% CI)

N=458

 

대조백신

(95% CI)

N=460

 

차이

(95% CI)

A

 

 

 

% Seroresponse*

55.4

(50.7; 60.0)

47.8

(43.2; 52.5)

7.6

(1.1, 14.0)

GMT

24.8

(21.9; 27.9)

22.6

(19.7; 26.0)

 

C

 

 

 

% Seroresponse*

95.2

(92.8; 97.0)

47.8

(43.2; 52.5)

47.4

(42.2, 52.2)

GMT

238

(209; 270)

17.0

(14.3; 20.2)

 

W

 

 

 

% Seroresponse*

78.8

(74.8; 82.5)

64.1

(59.5; 68.4)

14.8

(8.9, 20.5)

GMT

37.5

(33.7; 41.8)

26.2

(23.0; 29.9)

 

Y

 

 

 

% Seroresponse*

91.5

(88.5; 93.9)

79.3

(75.3; 82.9)

12.2

(7.7, 16.7)

GMT

68.8

(61.3; 77.3)

43.5

(37.7; 50.4)

 

N: 유효한 혈청학적 결과가 있는 계획서 순응 분석군(PPAS, per protocol analysis set)의 대상자 수. 대상자 수는 시점과 혈청형에 따라 다름.

정확한 이항 방법에서 계산된 단일 비율의 95% CI

*혈청반응률(Seroresponse):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1:16 이거나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접종 전에 비해 4배이상 증가한 시험대상자의 비율

비열등성 입증: 4개 혈청형 모두에 대하여, 혈청반응률 차이의 양측 95% CI 하한이 >-10%인 경우

<10~55세 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에서의 면역원성>

이 백신(MenQuadfi)과 대조백신(MenACWY-DT)을 비교한 MET43 연구에서 10~55세 시험대상자의 면역원성을 평가했다.

전반적으로 10~55세에서 4개의 혈청형 모두에 대해, 대조백신과 비교하여 이 백신에서 혈청반응에 기반한 면역 비열등성이 입증되었고, 표 5와 같다.

표 5. 10~55세에서 이 백신(MenQuadfi) 및 대조백신(MenACWY-DT) 투여 30일 후 hSBA 혈청반응률 및 GMT (MET43)

혈청형 별 평가변수

이 백신

(95% CI)

N=2508

대조백신

(95% CI)

N=593

차이

(95% CI)

A

 

 

 

% Seroresponse*

73.8

(72.0; 75.5)

54.6

(50.5; 58.7)

19.1

(14.8; 23.5)

GMT

92.9

(87.1; 99.1)

48.1

(41.8; 55.2)

 

C

 

 

 

% Seroresponse*

88.8

(87.5; 90.0)

47.9

(43.8; 52.0)

40.9

(36.7; 45.0)

GMT

328

(303; 354)

40.7

(33.8; 49.0)

 

W

 

 

 

% Seroresponse*

80.3

(78.7; 81.8)

61.2

(57.2; 65.2)

19.1

(14.9; 23.3)

GMT

84.4

(78.8; 90.4)

44.5

(38.3; 51.7)

 

Y

 

 

 

% Seroresponse*

91.4

(90.3; 92.5)

73.4

(69.6; 76.9)

18.1

(14.5; 21.9)

GMT

214

(200; 228)

66.4

(56.4; 78.0)

 

N: 유효한 혈청학적 결과가 있는 계획서 순응 분석군(PPAS)의 대상자 수. 대상자 수는 시점과 혈청형에 따라 다름.

정확한 이항 방법에서 계산된 단일 비율의 95% CI.

*혈청반응률(Seroresponse):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1:16 이거나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접종 전에 비해 4배이상 증가한 시험대상자의 비율

비열등성 입증: 4개 혈청형 모두에 대하여, 혈청반응률 차이의 양측 95% CI 하한이 >-10%인 경우

<10~17세 어린이 및 청소년에서의 면역원성>

이 백신(MenQuadfi)과 대조백신(MenACWY-DT)을 비교한 MET43 연구에서 10~17세 시험대상자의 면역원성을 평가했다.

전반적으로 10~17세에서 4개의 혈청형 모두에 대해, 대조백신과 비교하여 이 백신에서 혈청반응에 기반한 면역 비열등성이 입증되었고, 표 6과 같다.

표 6. 10~17세에서 이 백신(MenQuadfi) 및 대조백신(MenACWY-DT) 투여 30일 후 hSBA 혈청반응률 및 GMT (MET43)

혈청형 별 평가변수

이 백신

(95% CI)

N=1098

대조백신

(95% CI)

N=300

차이

(95% CI)

A

 

 

 

% Seroresponse*

74.0

(71.3; 76.6)

55.3

(49.5; 61.0)

18.7

(12.5; 24.9)

GMT

78.0

(71.4; 85.2)

44.2

(36.4; 53.7)

 

C

 

 

 

% Seroresponse*

95.6

(94.2; 96.8)

53.3

(47.5; 59.1)

42.3

(36.6; 48.0)

GMT

504

(456; 558)

44.1

(33.7; 57.8)

 

W

 

 

 

% Seroresponse*

84.5

(82.2; 86.6)

72.0

(66.6; 77.0)

12.5

(7.22; 18.2)

GMT

97.2

(88.3; 107)

59.2

(49.1; 71.3)

 

Y

 

 

 

% Seroresponse*

95.6

(94.2; 96.8)

85.7

(81.2; 89.4)

10.0

(6.18; 14.5)

GMT

208

(189; 228)

80.3

(65.6; 98.2)

 

N: 유효한 혈청학적 결과가 있는 계획서 순응 분석군(PPAS)의 대상자 수. 대상자 수는 시점과 혈청형에 따라 다름.

정확한 이항 방법에서 계산된 단일 비율의 95% CI.

*혈청반응률(Seroresponse):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1:16 이거나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접종 전에 비해 4배이상 증가한 시험대상자의 비율

비열등성 입증: 4개 혈청형 모두에 대하여, 혈청반응률 차이의 양측 95% CI 하한이 >-10%인 경우

<18~55세 성인에서의 면역원성>

이 백신(MenQuadfi)과 대조백신(MenACWY-DT)을 비교한 MET43 연구에서 18~55세 시험대상자의 면역원성을 평가했다.

전반적으로 18~55세에서 4개의 혈청형 모두에 대해, 대조백신과 비교하여 이 백신에서 hSBA 혈청반응에 기반한 면역 비열등성이 입증되었고, 표 7과 같다.

표 7. 18~55세에서 이 백신(MenQuadfi) 및 대조백신(MenACWY-DT) 투여 30일 후 hSBA 혈청반응률 및 GMT (MET43)

혈청형 별 평가변수

이 백신

(95% CI)

N=1410

대조백신

(95% CI)

N=293

차이

(95% CI)

A

 

 

 

% Seroresponse*

73.5

(71.2; 75.8)

53.9

(48.0; 59.7)

19.6

(13.5; 25.8)

GMT

106

(97.2; 117)

52.3

(42.8; 63.9)

 

C

 

 

 

% Seroresponse*

83.4

(81.4; 85.3)

42.3

(36.6; 48.2)

41.1

(35.0; 46.9)

GMT

234

(210; 261)

37.5

(29.0; 48.5)

 

W

 

 

 

% Seroresponse*

77.0

(74.7; 79.2)

50.2

(44.3; 56.0)

26.8

(20.7; 32.9)

GMT

75.6

(68.7; 83.2)

33.2

(26.3; 42.0)

 

Y

 

 

 

% Seroresponse*

88.1

(86.3; 89.8)

60.8

(54.9; 66.4)

27.4

(21.7; 33.3)

GMT

219

(200; 239)

54.6

(42.3; 70.5)

 

N: 유효한 혈청학적 결과가 있는 계획서 순응 분석군(PPAS)의 대상자 수. 대상자 수는 시점과 혈청형에 따라 다름.

정확한 이항 방법에서 계산된 단일 비율의 95% CI.

*혈청반응률(Seroresponse):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1:16 이거나 접종 전 역가가 ≥1:8인 시험대상자의 경우 접종 후 역가가 접종 전에 비해 4배이상 증가한 시험대상자의 비율

비열등성 입증: 4개 혈청형 모두에 대하여, 혈청반응률 차이의 양측 95% CI 하한이 >-10%인 경우

3) 비임상시험 정보

랫드에서의 국소 내성 평가를 포함한 반복투여 독성시험 및 토끼에서의 생식·발생독성시험에 근거하는 비임상 안전성 자료를 통해 사람에 대한 특별한 위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백신은 발암이나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 또는 수컷에서의 생식능력 장애와 관련하여 평가되지 않았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RMP대상, 포장 정보, 보험 약가
저장방법 밀봉용기, 동결을 피하여 냉장(2 ~ 8 ℃)보관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48 개월
재심사대상 재심사대상(4년) [2024-03-06 - 2028-03-05], 재심사대상(4년) [null - 2028-03-05]
RMP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1 바이알/상자(바이알(0.5mL))
보험약가
ATC코드
J07AH08 (meningococcus A,C,Y,W-135, tetravalent purified polysaccharides antigen conjugated)
top 이전 뒤로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