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품명 | 리브타요주(세미플리맙) |
---|---|
성상 | 미량의 반투명 내지 흰색 입자를 포함할 수 있는 투명 내지 약간 유백광의, 무색 내지 연한 노란색의 용액이 무색투명한 유리 바이알에 든 주사제 |
업체명 | |
위탁제조업체 |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희귀) |
허가일 | 2022-10-25 |
품목기준코드 | 202203904 |
표준코드 | |
허가심사유형 | 자료제출의약품(유전자재조합의약품 및 세포배양의약품) |
생동성 시험 정보
원료약품 및 분량
1바이알(7.0 밀리리터) 중-
순번 | 성분명 | 분량 | 단위 | 규격 | 성분정보 | 비교 |
---|---|---|---|---|---|---|
1 | 세미플리맙 | 350 | 밀리그램 | 별규 | 숙주: CHO-K1 벡터: Plasmid pRGN7541, pRGN7571 |
첨가제 : L-프롤린,L-히스티딘,백당,L-히스티딘염산염일수화물,폴리소르베이트80,주사용수
권장 용량
이 약 350 mg을 매 3주마다 30분에 걸쳐 정맥 점적 주입한다.
이 약은 질병의 진행 또는 허용 불가능한 독성 발생 전까지 투여한다.
용량 조절
이 약의 용량 조절은 권장되지 않는다. 개인별 안전성 및 내약성에 기반하여 투여 보류 또는 중단이 필요할 수 있다.
약물이상반응을 관리하기 위한 용량조절 권장지침은 표 1을 참고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2. 약물이상반응 2)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및 3. 일반적 주의 1)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항 참고)
표 1. 약물이상반응에 대한 용량 조절 권장지침
약물이상반응 |
중증도a |
용량 조절 |
추가적 중재 |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
|||
폐염증 |
2등급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폐염증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 ~1등급이 유지되는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3등급 또는 4등급 또는, 재발성 2등급 |
영구 중단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2~4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
결장염 |
2등급 또는 3등급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결장염 또는 설사가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1등급이 유지되는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4등급 또는 재발성 3등급 |
영구 중단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
간염 |
AST 또는 ALT가 ULN의 3배 초과 ~ 5배 이하 또는, 총 빌리루빈이 ULN의 1.5배 초과~3배 이하인 2등급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간염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 ~1등급이 유지되거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감량완료 후 기저치 AST 또는 ALT로 돌아오면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AST 또는 ALT가 ULN의 5배 초과 또는, 총 빌리루빈이 ULN의 3배 초과한 3등급 |
영구 중단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
갑상선저하증 |
3등급 또는 4등급 |
투여 보류 |
임상적 필요에 따라 갑상선 호르몬 보충 시작 |
갑상선저하증이 0~1등급으로 돌아오거나 임상적으로 안정적일 때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갑상선항진증 |
3등급 또는 4등급 |
투여 보류 |
대증치료 시작 |
갑상선항진증이 0~1등급으로 돌아오거나 임상적으로 안정적일 때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갑상선염 |
3등급 또는 4등급 |
투여 보류 |
대증치료 시작 |
갑상선염이 0~1등급으로 돌아오거나 임상적으로 안정적일 때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뇌하수체염 |
2등급~4등급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하고 임상적 필요에 따라 호르몬 보충 |
뇌하수체염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1등급으로 유지되거나 임상적으로 안정하면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부신 기능부전 |
2등급~4등급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하고 임상적 필요에 따라 호르몬 보충 |
부신 기능부전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1등급으로 유지되거나 임상적으로 안정하면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제1형 당뇨병 |
3등급 또는 4등급(고혈당증) |
투여 보류 |
임상적 필요에 따라 항고혈당제 치료 시작 |
당뇨병이 0~1등급으로 돌아오거나 임상적으로 안정적일 때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피부 약물이상반응 |
1주 넘게 지속된 2등급, 3등급 또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 또는 독성표피괴사용해(TEN)가 의심되는 경우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피부 반응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1등급으로 유지되거나 임상적으로 안정하면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4등급 또는, SJS 또는 TEN으로 확진된 경우 |
영구 중단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
이전에 이델라리시브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 또는 기타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
2등급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즉시 치료 시작 후 점차 감량 |
피부 반응 또는 기타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1등급으로 유지되면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3등급 또는 4등급 (내분비병증 제외) 또는, 재발성 2등급 |
영구 중단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즉시 치료 시작 후 점차 감량 |
|
신기능 장애를 동반한 신장염 |
2등급의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
투여 보류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신장염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1등급으로 유지되면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3등급 또는 4등급의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
영구 중단 |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 후 점차 감량한다. |
|
기타 면역관련 약물이상반응 |
반응 유형에 따른 2등급 또는 3등급 |
투여 보류 |
임상적 필요에 따라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즉시 대증치료 시작 후 점차 감량 |
기타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이 개선되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 후 0~1등급으로 유지되면 이 약의 투여를 재개한다. |
|||
반응 유형에 따른 3등급 또는 4등급(내분비병증 제외) |
영구 중단 |
임상적 필요에 따라 초기용량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프레드니손 1일 1~2mg/kg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즉시 치료 시작 후 점차 감량 |
|
3등급 또는 4등급 신경독성 |
|||
3등급 또는 4등급 심근염 또는 심장막염 |
|||
재발성 3등급 면역관련 약물이상반응 |
|||
12주 이상 지속되는 2등급 또는 3등급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내분비병증 제외) |
|||
12주 이내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용량을 1일 10mg 이하의 프레드니손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으로 감량하지 못하는 경우 |
|||
주입 관련 반응 |
|||
주입 관련 반응 |
1등급 또는 2등급 |
투여 일시 중지 또는 주입 속도 감소 |
대증치료 시작 |
3등급 또는 4등급 |
영구 중단 |
AL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ST: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ULN: 정상 상한치
a 독성 등급은 최신의 NCI CTCAE(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에 따른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 또는 이 약의 첨가제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약물이상반응
1)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이상사례
이 약의 안전성은 2건의 임상시험에서 이 약 단일요법을 투여 받은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 219명을 포함하여 591명의 진행성 고형 악성종양 환자에서 평가되었다. 219명 중 131명이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이었고 88명이 국소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이었다.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은 5등급(0.7%), 4등급(1.2%), 3등급(6.3%)을 포함하여 임상시험에서 이 약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20.3%에서 발생했다.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은 4.4%의 환자에서 이 약의 영구 중단으로 이어졌다. 가장 흔한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은 갑상선저하증(7.1%), 폐염증(3.7%), 피부 약물이상반응(2.0%), 갑상선항진증(1.9%), 간염(1.9%) 이었다. 약물이상반응은 8.6% 환자에서 중증이었다. 약물이상반응으로 인해 환자의 5.8%에서 이 약의 영구 중단으로 이어졌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 및 독성표피괴사용해(TEN)를 포함한 중증 피부 이상반응(SCAR)이 이 약의 치료와 관련하여 보고되었다.
약물이상반응 일람표
표 2는 약물이상반응을 기관계 분류 및 빈도에 따라 기재되었다.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 <1/10); 흔하지 않게(≥ 1/1,000 ~ <1/100); 드물게(≥ 1/10,000 ~ <1/1,000); 매우 드물게(<1/10,000); 빈도 불명(이용 가능한 자료로부터 추정할 수 없음). 각 빈도 범주에서, 약물이상반응은 중증도가 높은 순으로 표기되었다.
표 2.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약물 이상반응
|
1-5등급(빈도 범주) |
1-5등급(%) |
3-5등급(%) |
면역계 장애 |
|||
주입 관련 반응 |
흔하게 |
4.1 |
0 |
쇼그렌 증후군 |
흔하지 않게 |
0.5 |
0 |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색반 |
흔하지 않게 |
0.2 |
0 |
혈관염 |
흔하지 않게 |
0.2 |
0 |
고형 장기 이식 거부a |
빈도 불명 |
- |
- |
내분비 장애 |
|||
갑상선저하증 |
흔하게 |
9.6 |
0 |
갑상선항진증 |
흔하게 |
2.7 |
0 |
1형 당뇨병b |
흔하지 않게 |
0.7 |
0.7 |
부신 부전 |
흔하지 않게 |
0.5 |
0.5 |
뇌하수체염 |
흔하지 않게 |
0.5 |
0.5 |
갑상선염 |
흔하지 않게 |
0.2 |
0 |
신경계 장애 |
|||
신생물 딸림 뇌척수염 |
흔하지 않게 |
0.2 |
0.2 |
만성 염증성 탈수초 다발 신경근 병증 |
흔하지 않게 |
0.5 |
0 |
뇌염 |
흔하지 않게 |
0.5 |
0.5 |
수막염c |
흔하지 않게 |
0.5 |
0.5 |
갈랭-바레 증후군 |
흔하지 않게 |
0.2 |
0.2 |
중추 신경계 염증 |
흔하지 않게 |
0.2 |
0 |
말초 신경병증d |
흔하지 않게 |
0.5 |
0 |
중증 근육 무력증 |
흔하지 않게 |
0.2 |
0 |
눈 장애 |
|||
각막염 |
흔하지 않게 |
0.5 |
0 |
심장 장애 |
|||
심근염e |
흔하지 않게 |
0.5 |
0.5 |
심장막염f |
흔하지 않게 |
0.5 |
0.5 |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
|||
폐염증 |
흔하게 |
5.9 |
2.3 |
호흡 곤란g |
흔하게 |
2.6 |
0.3 |
위장관 장애 |
|||
설사h |
매우 흔하게 |
13.2 |
0.5 |
구내염 |
흔하게 |
2.4 |
0 |
간담도 장애 |
|||
간염i |
흔하게 |
1.4 |
1.4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
발진j |
매우 흔하게 |
23.3 |
1.4 |
소양증k |
매우 흔하게 |
12.3 |
0 |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
|||
관절통 |
흔하게 |
5.0 |
0 |
근골격 통증l |
흔하게 |
4.1 |
0.5 |
관절염m |
흔하게 |
1.4 |
0.5 |
근육 쇠약 |
흔하지 않게 |
0.9 |
0 |
류마티스성 다발 근육통 |
흔하지 않게 |
0.5 |
0 |
근육염g |
드물게 |
<0.1 |
<0.1 |
신장 및 요로 장애 |
|||
신장염 |
흔하지 않게 |
0.5 |
0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상태 |
|||
피로n |
매우 흔하게 |
21.5 |
0.9 |
임상 검사 |
|||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흔하게 |
5.5 |
0.5 |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흔하게 |
5.0 |
0.9 |
혈액 알칼리 인산분해효소 증가 |
흔하게 |
2.7 |
0 |
혈액 크레아티닌 증가 |
흔하게 |
1.8 |
0 |
독성 등급은 NCI CTCAE v4.03에 따른다.
a. 시판 후 사례
b. 당뇨병, 당뇨병성 케톤산증, 1형 당뇨병 포함
c. 수막염, 무균 수막염 포함
d. 말초 신경병증, 신경염 포함
e. 자가면역 심근염, 심근염 포함
f. 자가면역 심장막염, 심장막염 포함
g. 빈도는 여러 암 유형에 걸쳐 진행중인 임상시험의 2184명 환자를 기반으로 함
h. 설사, 장염 포함
i. 간염, 자가면역 간염 포함
j. 반상-구진 발진, 발진, 피부염, 일반적 발진, 수포성 피부염, 약물 발진, 홍반, 유사 천포창, 건선, 홍반성 발진, 황반 발진, 소양성 발진 및 피부 반응 포함
k. 소양증, 알레르기성 소양증 포함
l. 등 통증, 근골격 통증, 근육통, 경부 통증, 사지 통증 포함
m. 관절염 및 다발 관절염 포함
n. 피로, 무력증 포함
2)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용법용량 및 사용상의 주의사항 3. 일반적 주의 1)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항 참고)
면역 관련 폐염증(Pneumonitis)
면역 관련 폐염증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22명(3.7%)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2명(0.3%)이 5등급, 2명(0.3%)이 4등급, 6명(1.0%)이 3등급의 폐염증이었다. 면역 관련 폐염증으로 인해 591명 중 11명(1.9%)의 환자가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하였다. 면역 관련 폐염증을 보인 22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3.8개월 (7일 - 18개월) 이었고 폐염증 지속시간의 중앙값은 21.5일 (5일 – 6.5개월)이었다. 18명(3.0%)의 환자가 중앙값 8.5일 (1일 – 5.9개월) 동안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았다. 자료 마감시점에서 폐염증은 22명 중 14명(63.6%)의 환자에서 해소되었다.
면역 관련 결장염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7명(1.2%)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2명(0.3%)이 3등급의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을 경험하였다.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으로 인해 591명 중 1명(0.2%)의 환자가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하였다.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을 보인 7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3.8개월 (15일 – 6.0개월) 이었고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 지속시간의 중앙값은 30일 (4일 – 8.6개월)이었다.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을 보인 4명(0.7%)의 환자가 중앙값 29일 (19일 – 2.0개월) 동안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았다. 자료 마감시점에서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은 7명 중 4명(57.1%)의 환자에서 해소되었다.
면역 관련 간염
면역 관련 간염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11명(1.9%)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명(0.2%)이 5등급, 1명(0.2%)이 4등급, 9명(1.5%)이 3등급의 면역 관련 간염을 경험하였다. 면역 관련 간염으로 인해 591명 중 5명(0.8%)의 환자가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하였다. 면역 관련 간염을 보인 11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1.0개월 (7일 – 4.2개월) 이었고 면역 관련 간염 지속시간의 중앙값은 15일 (8일 – 2.7개월)이었다. 면역 관련 간염을 보인 10명(1.7%)의 환자가 중앙값 10.5일 (2일 – 1.9개월) 동안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았다. 자료 마감시점에서 면역 관련 간염은 11명 중 8명(72.7%)의 환자에서 해소되었다.
면역 관련 내분비병증
갑상선저하증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42명(7.1%)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명(0.2%)이 3등급의 갑상선저하증을 경험하였다. 갑상선저하증으로 인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갑상선저하증을 보인 42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4.2개월(15일 – 18.9개월) 이었다.
갑상선항진증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11명(1.9%)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명(0.2%)이 3등급의 갑상선항진증을 경험하였다. 갑상선항진증으로 인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갑상선항진증을 보인 11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1.9개월(28일 – 14.8개월) 이었다.
부신 기능부전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3명(0.5%)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1명(0.2%)이 3등급의 부신 기능부전을 경험하였다. 부신 기능부전으로 인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부신 기능부전을 보인 3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11.5개월(10.4개월 – 12.3개월) 이었다. 3명 중 1명이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 치료받았다.
면역 관련 뇌하수체염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1명(0.2%)에서 발생하였고, 3등급의 뇌하수체염이었다.
다른 병인이 없는 1형 당뇨병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4명(0.7%)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3명(0.5%)이 4등급, 1명(0.2%)이 3등급의 1형 당뇨병을 경험하였다. 1형 당뇨병으로 인해 591명 중 1명(0.2%)의 환자가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하였다. 1형 당뇨병을 보인 4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2.3개월(28일 – 6.2개월) 이었다.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12명(2.0%)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6명(1.0%)이 3등급의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을 경험하였다.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으로 인해 591명 중 2명(0.3%)의 환자가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하였다.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을 보인 12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1.5개월 (2일 – 10.9개월) 이었고 지속시간의 중앙값은 4.4 개월 (14일 – 9.6개월)이었다.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을 보인 9명(1.5%)의 환자가 중앙값 16일 (7일 – 2.6개월) 동안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았다. 자료 마감시점에서 12명 중 6명(50%)의 환자에서 해소되었다.
면역 관련 신장염
면역 관련 신장염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3명(0.5%)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2명(0.3%)이 3등급의 면역 관련 신장염을 경험하였다. 면역 관련 신장염으로 인해 591명 중 1명(0.2%)의 환자가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하였다. 면역 관련 신장염을 보인 3명의 환자에서, 발현까지 시간의 중앙값은 1.8개월 (29일 – 4.1개월) 이었고 신장염 지속시간의 중앙값은 18일 (9일 – 29일)이었다. 면역 관련 신장염을 보인 2명(0.3%)의 환자가 중앙값 1.5개월 (16일 – 2.6개월) 동안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았다. 자료 마감시점에서 신장염은 모든 환자에서 해소되었다.
기타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아래의 임상적으로 유의한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이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의 환자에서 1% 미만의 비율로 발생하였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3등급 이하였다:
신경계 장애: 수막염a(4등급), 방종양성 뇌척수염(paraneoplastic encephalomyelitis)(5등급), 길랭-바레 증후군, 중추 신경계 염증, 만성 염증성 탈수초 다발 신경근 병증(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뇌염b, 중증 근육 무력증, 말초 신경 병증c
심장 장애: 심근염d, 심장막염e
면역계 장애: 면역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혈관 장애: 혈관염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관절통(1.4%), 관절염f, 근육 쇠약, 근육통, 류마티스성 다발근육통, 쇼그렌 증후군
눈 장애: 각막염
위장관 장애: 구내염
내분비 장애: 갑상선염
a 수막염 및 무균 수막염 포함
b 뇌염 및 비감염성 뇌염 포함
c 신경염 및 말초 신경병증 포함
d 자가면역 심근염 및 심근염 포함
e 자가면역 심장막염 및 심장막염 포함
f 관절염 및 다발관절염 포함
3) 주입 관련 반응
이 약을 투여 받은 591명의 환자 중 3등급의 주입 관련 반응을 보인 1명 (0.2%)을 포함하여 54명(9.1%)에서 주입 관련 반응이 발생하였다. 2명 (0.3%)의 환자가 주입 관련 반응으로 인해 이 약의 투여를 영구 중단하였다. 주입 관련 반응의 가장 흔한 증상은 오심, 발열, 구토, 복통, 오한, 홍조였다. 모든 환자가 주입 관련 반응에서 회복되었다.
4) 면역원성
다른 모든 치료용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이 약은 잠재적 면역원성이 있을 수 있다.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의 약 1.1%에서 치료로 인한 항체가 발생하였고 그 중 약 0.2%는 지속적인 항체 반응을 나타냈다. 중화 항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항-약물 항체 발생으로 인하여 약동학 또는 안전성 프로파일이 변한다는 증거는 없었다.
3. 일반적 주의
1)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용법용량 및 사용상의주의사항 2. 약물이상반응 2)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항 참고)
이 약 투여 시 중증 및 치명적인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면역 관련 반응은 어느 기관에도 수반될 수 있다. 대부분의 면역 관련 반응은 이 약의 치료 중에 처음 나타나지만,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은 이 약의 중단 이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약 또는 다른 PD-1/PD-L1 저해제로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근육염 및 심근염 또는 중증 근무력증 같이 하나 이상의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 관련 이상반응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감염을 포함한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의심되는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을 평가한다.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이 약의 치료 조절, 호르몬 보충 요법(임상적 필요에 따라) 그리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을 관리한다. 약물이상반응의 중증도에 따라 이 약의 투여를 일시 중지하거나 영구 중단한다.
① 면역 관련 폐염증(Pneumonitis)
치명적인 증례를 포함하여, 뚜렷한 다른 병인 없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면역 관련 폐염증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폐염증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한다. 폐염증이 의심되는 환자는 방사선 영상검사로 평가하고 이 약의 치료 조절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관리한다.
② 면역 관련 결장염
뚜렷한 다른 병인 없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면역 관련 설사 또는 결장염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설사 또는 결장염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이 약의 치료 조절, 지사제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관리한다.
③ 면역 관련 간염
치명적인 증례를 포함하여, 뚜렷한 다른 병인 없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면역 관련 간염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치료 전 그리고 치료 중 정기적으로 임상평가에 기반하여 비정상적인 간 검사치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이 약의 치료 조절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관리한다.
④ 면역 관련 내분비병증
뚜렷한 다른 병인 없이 치료 후 발생한 내분비병증으로 정의되는 면역 관련 내분비병증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갑상선 장애(갑상선저하증/갑상선항진증/갑상선염)
갑상선 장애가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갑상선염은 갑상선 기능 검사의 변동과 관계없이 나타날 수 있다. 갑상선항진증에 이어서 갑상선저하증이 나타날 수 있다. 갑상선 장애는 치료 중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치료 시작 시, 치료 중 정기적으로 임상 평가에 기반하여 갑상선 기능 변화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한다. 호르몬 보충 요법(필요 시) 및 이 약의 치료 조절을 통해 관리한다. 갑상선항진증은 표준 의료 지침에 따라서 관리한다.
뇌하수체염
면역 관련 뇌하수체염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뇌하수체염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이 약의 치료 조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임상적 필요에 따른 호르몬 보충을 통해 관리한다.
부신 기능부전
부신 기능부전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치료 중 및 치료 후 부신 기능부전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이 약의 치료 조절,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임상적 필요에 따른 호르몬 보충을 통해 관리한다.
1형 당뇨병
당뇨성 케톤산증을 포함하여 1형 당뇨병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고혈당증과 당뇨병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임상평가에 기반하여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경구 항고혈당제 또는 인슐린 및 이 약의 치료 조절을 통해 관리한다.
⑤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Stevens-Johnson syndrome, SJS) 또는 독성표피괴사용해(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 (일부 증례는 치명적인 결과 수반)와 같은 중증 피부 이상 반응(severe cutaneous adverse reactions, SCARs) 및 발진, 다형 홍반, 유사 천포창과 같은 다른 피부 반응을 포함하여 뚜렷한 다른 병인 없이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면역 관련 피부 약물이상반응이 이 약의 치료와 관련하여 보고되었다. 의심되는 중증의 피부 반응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다른 원인을 배제한다. 이 약의 치료 조절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환자를 관리한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또는 독성표피괴사용해의 증상 또는 징후에 대해서는 환자가 평가 및 치료를 위한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고 치료 조절을 통해 환자를 관리한다.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NHL)에서의 이 약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에 참여 중이었고, 최근에 설파 함유 항생제에 노출된 환자 중 이전에 이델라리시브에 노출된 환자에서 치명적인 독성표피괴사용해를 포함하여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 구내염 증례가 발생하였다. 즉시 이 약의 치료 조절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환자를 관리한다.
⑥ 면역 관련 신장염
뚜렷한 다른 병인 없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면역 관련 신장염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신장 기능의 변화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한다. 이 약의 치료 조절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환자를 관리한다.
⑦ 기타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
신생물 딸림 뇌척수염(paraneoplastic encephalomyelitis), 수막염 및 근육염을 포함한 기타 치명적이고 생명을 위협하는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이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의심되는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을 평가한다.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해야 하며 임상적 필요에 따라 이 약의 치료 조절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관리한다. 시판 후 고형 장기 이식 거부반응이 이 약 및 다른 PD-1 저해제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이 약을 사용한 치료는 고형 장기 이식을 받은 환자에서 거부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환자들에서 잠재적인 장기 거부의 위험 대비 이 약을 사용한 치료의 이익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른 PD-1/PD-L1 저해제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과 관련하여 시판 후 이식편-대-숙주 질환의 증례가 보고되었다.
2) 주입 관련 반응
이 약은 중증의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주입 관련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2. 약물이상반응 항 참고). 주입 관련 반응의 징후 및 증상에 대해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이 약의 치료 조절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통해 관리한다. 반응의 중증도에 따라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거나 주입 속도를 늦추거나 또는 영구 중단한다 (용법용량 항 참고).
4. 상호작용
이 약에 대해 공식적인 약동학적 약물 상호작용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이 약의 약력학적 활성 및 유효성에 대한 잠재적 간섭 때문에, 이 약을 시작하기 전에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억제제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단, 생리학적 용량의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프레드니손 1일 10mg 이하 또는 이에 상응하는 용량)는 제외한다. 그러나 면역 관련 약물이상반응을 치료하기 위해 이 약을 시작한 후에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기타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5. 임부, 수유부, 가임여성에 대한 투여
1) 임부 및 가임여성
임부에 대한 이 약의 사용에 관한 자료는 없다. 동물시험에서 PD-1/PD-L1 신호전달 경로 억제가 발생 중인 태아에 대한 면역-매개 거부 위험을 증가시켜 태아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에 대한 동물 생식독성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인간 IgG4는 태반 장벽을 통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약은 IgG4 이므로 산모로부터 발생 중인 태아에게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 이 약은 임상적 이익이 잠재적 위험을 상회하지 않는 한, 임부 또는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가임여성에게 권장되지 않는다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이 약 투여기간 동안 및 이 약의 마지막 투여 후 최소 4개월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수유부
이 약이 사람의 모유로 분비되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항체(IgG4 포함)는 사람의 모유에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신생아/영아에 대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약 투여기간 동안 및 이 약의 마지막 투여 후 최소 4개월 동안 수유를 중단하도록 권고해야 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만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 환자에서 용량 조절은 권장되지 않는다. 이 약의 노출은 모든 연령군에 걸쳐 유사하다.
8. 신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용량 조절은 권장되지 않는다. 중증 신장애(크레아티닌 청소율 15~29 mL/분) 환자에서 이 약의 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9. 간장애 환자
경증 또는 중등증의 간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용량 조절은 권장되지 않는다. 중증의 간장애 환자에서 이 약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투여 시, 약물이상반응의 징후나 증상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대증치료를 실시해야 한다.
11. 적용상의 주의
1) 투여 전에 이물과 변색 여부에 대해 이 약을 육안으로 검사한다. 이 약은 투명 내지 약간 유백광의 무색 내지 연한 노란색의 용액으로, 미량의 반투명 내지 흰색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2) 용액이 혼탁하거나, 변색되었거나, 미량의 반투명 내지 흰색 입자 외에 외래성 이물을 포함하는 경우 바이알을 폐기한다.
3) 바이알을 흔들지 않는다.
4) 이 약 바이알에서 7 ml(350 mg)를 취하여 0.9% 염화나트륨 주사액 또는 5% 포도당 (dextrose) 주사액을 함유한 정맥주입백에 옮긴다. 희석한 용액을 부드럽게 뒤집어서 섞는다. 용액을 흔들지 않는다. 희석액의 최종 농도는 1 mg/ml - 20 mg/ml가 되어야 한다.
5) 이 약은 일회용으로 사용한다. 사용하지 않은 의약품 또는 폐기물은 국내 규정에 따라 폐기한다.
6) 이 약은 30분에 걸쳐서 멸균의 내장 또는 외장 필터(0.2-5 µm 크기)를 사용하여 정맥으로 점적 투여한다.
7) 동일한 점적주입 라인으로 다른 의약품을 함께 투여하지 않는다.
8) 조제 후에는 희석액을 즉시 투여한다. 희석액을 즉시 투여하지 않는 경우,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항에 따른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이 약은 2∼8 ℃에서 냉장보관한다. 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외부 포장 그대로 보관한다. 냉동하지 않는다. 흔들지 않는다.
2) 개봉 후 이 약은 즉시 희석 및 주입되어야 한다.
3) 이 약은 보존제가 함유되지 않았다. 조제된 의약품은 즉시 사용해야 한다. 희석액이 즉시 투여되지 않는 경우 임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보관할 수 있다.
- 주입액 조제 시점부터 점적주입 완료 시점까지 25°C 이하의 실온에서 8시간 이하
또는
- 주입액 조제 시점부터 점적주입 완료 시점까지 2-8°C 냉장 보관으로 24시간 이하. 투여 전에 희석액이 실온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
13.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정보
PD-L1 및 PD-L2 리간드가 T세포의 PD-1 수용체에 결합하면 T세포 증식 및 사이토카인 분비가 억제되며, 이는 종양의 활성 T세포 면역 감시 기능을 억제한다.
이 약은 재조합 인간 면역글로불린G4(immunoglobulinG4, IgG4) 단일클론 항체로, PD-1수용체에 결합하여 PD-L1 및 PD-L2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차단하여 항-종양 면역반응을 포함한 PD-1 매개 면역반응 억제에 대응한다. 동종이식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PD-1 활성 억제는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2) 약동학적 정보
농도 데이터는 178명의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를 포함하여 이 약을 투여 받은 다양한 고형 종양 환자 548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1 mg/kg – 10 mg/kg 2주 간격 및 350 mg 3주 간격 투여 용법에서 이 약의 약동학은 선형이며 용량에 비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투여간격 동안 전신 표적-매개 경로의 포화를 시사한다.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항정상태 노출은350 mg 3주 간격 투여 용법(n=53) 및 3 mg/kg 2주 간격(n=135)에서 유사하다. 350 mg 3주 간격 투여 용법에서 이 약의 항정상태 평균 농도는 Ctrough 63 mg/L 와 주입 종료 시 농도(Cmax) 151 mg/L 사이에 있었다. 항정상태 노출은 약 4개월 치료 이후 도달한다.
흡수
이 약은 정맥내 경로로 투여되므로 완전하게 생체 이용 가능하다.
분포
이 약은 주로 혈관계에 분포하며, 항정상태 분포용적(Vss)은 5.2 L이다.
생체 내 변화
이 약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특정 대사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이 약은 작은 펩타이드 및 개별 아미노산으로 분해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거
이 약의 청소율은 매 2주 1 mg/kg – 10 mg/kg의 용량에서 선형적이고, 최초 투여 후 이 약의 청소율은 약 0.33 L/일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총 청소율이 약 3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결과적 항정상태 청소율(steady state clearance, CLss)은 0.21 L/일이다. 청소율의 감소는 임상적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항정상태에서 투여 간격 내 반감기는 19.4일이다.
특수 환자 집단
집단 약동학 분석에 의하면 다음의 요인은 이 약의 노출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다; 연령, 성별, 체중, 인종, 암종, 알부민 수치, 신장애, 경증 간장애 및 신장애
신장애
신장애가 이 약의 노출에 미치는 영향은 경증(CLcr 60 - 89 ml/분; n= 197), 중등도(CLcr 30 - 59 ml/분; n= 90), 또는 중증(CLcr 15 - 29 ml/분; n= 4)의 신장애 환자 대상으로 집단 약동학 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이 약의 노출에 있어서 신장애 환자와 신기능이 정상인 환자 간에 임상적으로 중요한 차이는 없었다. 이 약은 CLcr<25 ml/분인 환자에서 연구되지 않았다.
간장애
간장애가 이 약의 노출에 미치는 영향이 집단 약동학 분석을 통해 평가되었다. 경증 간장애 환자(n=5)(총 빌리루빈>1.0~1.5 x 정상상한치 및 AST 무관)의 이 약 노출에 있어서 간기능이 정상인 환자와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중요한 차이는 없었다. 이 약은 중증 간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중등도 또는 중증 간장애 환자의 권장용량을 위한 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3) 임상시험 정보
이 약의 유효성은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 또는 근치적 수술이나 근치적 방사선 요법의 대상이 아닌 국소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 219명에 대해 2개의 공개, 다기관, 비-무작위배정, 다중코호트 연구(임상시험 1423 및 임상시험 1540)에서 평가되었다.
두 임상시험 모두 5년 이내에 면역억제제 전신 요법을 필요로 한 자가면역 질환 환자, 고형 장기 이식 병력, 이전에 항-PD-1/PD-L1 차단 항체 또는 다른 면역관문 저해제 치료를 받은 환자, HIV 감염, B형 또는 C형 간염 또는 ECOG(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S(performance score)가 2 이상인 환자는 제외하였다.
환자들은 임상시험 1423에서 최대 48주 동안 또는 임상시험 1540에서 최대 96주 동안 매 2주 이 약 3mg/kg을 정맥 투여 받았다. 임상시험 1540에서 환자의 추가 코호트는 최대 54주 동안 매 3주 350mg을 투여 받았다. 이 약은 질병이 진행하거나 허용 불가능한 독성 또는 계획된 치료가 종료될 때까지 투여하였다. 종양반응평가는 매 8주 또는 9주마다 실시되었다. 주요 유효성평가 결과의 척도는 독립적 중앙 검토(Independent Central Review, ICR)에서 평가한 완전 관해(complete response, CR)과 부분 관해(partial response, PR)의 합으로 정의되는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과 ICR에서 평가한 반응 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 이었다. 외부에서 보이는 표적 병변이 없는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의 경우, ORR은 고형종양 반응평가기준(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RECIST 1.1)으로 판정되었다. 외부에서 보이는 표적 병변이 있는 국소 진행성 및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의 경우, ORR는 방사선 자료(RECIST 1.1) 및 디지털 의료 사진(WHO 기준)에 대한 ICR 평가를 통합한 복합 평가변수로 판정되었다.
임상시험 1540
매 2주 마다 3mg/kg 또는 매 3주 마다 350mg의 이 약을 투여 받은 임상시험 1540에 등록된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 193명 중 115명이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 78명이 국소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이었다. 평균 연령은 72세(38~96세)이었고, 83%가 남성, 97%가 백인, 45%가 ECOG PS 0 및 55%가 ECOG PS 1, 34%가 이전에 적어도 한 가지 이상 전신 항암치료를 받았고, 90%는 이전에 암 관련 수술을 받았으며, 68%는 이전에 방사선 요법을 받았다.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 중 77%가 원격 전이가 있었고, 23%는 절 전이만 있었다.
아래 표 3에 제시된 이 약에 반응한 환자의 반응까지의 시간 중앙값은 1.9개월(범위: 1.7~9.1 개월) 이었다. 매 2주 마다 3mg/kg을 투여 받은 환자의 유효성 평가 결과가 아래 표 3에 제시되었다.
표 3. 임상시험 1540에서의 유효성 평가 결과: 매 2주마다 3mg/kg
유효성 평가변수a |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 매 2주 마다 이 약 3mg/kg |
국소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 매 2주 마다 이 약 3mg/kg |
통합 피부 편평세포암 |
|
N = 59 |
N = 78 |
N = 137 |
확인된 객관적 반응률 (ORR) |
|||
ORR (95% CI) |
49% (36, 63) |
44% (32, 55) |
46% (37, 55) |
완전 관해 (95% CI)b |
17% (8, 29) |
13% (6, 22) |
15% (9, 22) |
부분 관해 (95% CI) |
32% (21, 46) |
31% (21, 42) |
31% (24, 40) |
반응 지속기간 (DOR) |
|||
중앙값, 개월 (범위) |
NR (2.8 – 21.6+) |
NR (1.9 – 24.2+) |
NR (1.9 – 24.2+) |
6개월 이상인 환자, n(%)c |
27 (93%) |
23 (68%) |
50 (79%) |
12개월 이상인 환자, n(%)c |
22 (76%) |
12 (35%) |
34 (54%) |
CI: 신뢰구간; NR: 도달하지 않음; +: 마지막 평가에서 진행 중을 의미
a. 추적관찰기간 중앙값: 전이성 피부 편평세포암: 16.5개월; 국소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 9.3 개월; 통합 피부 편평세포암: 11.1 개월
b. 이전의 피부 침범이 완전히 치유된 환자만 포함; 임상시험 1540에서 국소 진행성 피부 편평세포암 환자의 경우 완전 관해 확인을 위해 생검이 요구됨
c. 분자에는 관찰된 DOR이 최소 6개월 또는 12개월의 지정된 시간에 도달한 환자 수가 포함됨. 지정된 시점에 도달하지 않은 환자는 분모에만 포함됨
임상시험 1540: 매 3주마다 350mg
임상시험 1540의 추가 코호트에서, 56명의 환자가 최대 54주 동안 매 3주 마다 350mg의 용량으로 이 약을 정맥 투여 받았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8.0개월이었고 확인된 ORR은 41%(95% CI: 28, 55)이었으며, 반응자의 65%는 DOR이 6개월 이상이었다.
4) 비임상 정보
이 약의 안전성은 사이노몰거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1개월 및 6개월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통해 평가되었다. 무독성량(NOAEL)은 이 연구에서 투여된 가장 높은 용량(50mg/kg/주) 이었다. 이 약에 대한 동물 생식독성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이 약에 대한 발암성 또는 유전독성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성적으로 성숙한 사이노몰거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3개월 반복 투여 수태능 평가 시험에서 수태능 평가 매개변수(생리주기, 정액 분석 또는 고환 측정) 또는 수컷 및 암컷 생식기에 대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밀봉용기, 차광하여 2°C ~ 8°C에서 냉장보관, 얼리지 말 것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
재심사대상 | |
RMP대상 |
RMP대상
|
포장정보 | 1 바이알/상자(바이알(7mL)) |
보험약가 |
특허정보
순번 | 특허권등재자 | 특허권자 | 특허번호 | 등재일자 | 존속기간만료일자 | 상세보기 |
---|---|---|---|---|---|---|
순번1 | 특허권등재자(주)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 | 특허권자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 특허번호 10-2337042-0000 | 등재일자2023-01-19 | 존속기간만료일자2035-01-23 | 상세보기 상세보기 |
관련검토서정보
순번 | 제목 | 첨부파일명 | 다운로드 |
---|---|---|---|
1 | [희귀의약품] 리브타요주(세미플리맙) | 정보공개_허가보고서_리브타요주(세미플리맙)_최종.pdf |